사회 전국

금오공대에서 폐유리 재활용한 음극소재 기술 개발

박철민 교수팀 고용량 리튬 이온전지용

경북 구미시에 있는 금오공과대학교가 신소재공학부 전지 신소재연구실 박철민 교수(43) 연구팀이 ‘버려지는 폐유리의 재활용을 통한 고용량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발표했다.

박철민 교수 연구팀은 매우 간단한 고체합성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폐유리를 실리콘계 나노 복합체로 제조했으며, 이를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음극 소재로 적용해 고용량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개발했다.


간단한 방법으로 실리콘계 나노 복합체 소재를 제조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 및 상업화 가능성이 크며, 제조된 실리콘계 나노복합체 소재는 현재 상용화 중인 흑연 음극보다 우수한 용량을 가져 전기화학 성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량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소재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관련기사



박철민 교수는 “이번 성과는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버려지는 폐유리의 재활용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새로운 이차전지 시스템과 고용량 리튬이온전지 전극소재 개발 등 차세대 산업동력을 위한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금오공대 석사과정 이승수 연구원(29·現 LG 화학기술연구원·사진)이 제1 저자로 참여했으며, 친환경과학 부문 최상위급 SCI 학술지인 ‘Green Chemistry’ 온라인판 2월호에 ‘Facile conversion of waste glass into Li storage material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및 중점연구소 지원사업과 금오공대 ICT 융합특성화연구센터 지원으로 진행했다.
/구미=이현종기자 ldhjj13@sedaily.com

제1 저자로 참여한 이승수 연구원제1 저자로 참여한 이승수 연구원




폐유리의 재활용을 통한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소재의 제조방법 및 전기화학 성능폐유리의 재활용을 통한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소재의 제조방법 및 전기화학 성능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