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정부, 수소도시 3곳 구축... 차세대 에너지 경쟁 선점 나선다

'2019 업무보고'서 수소 대중교통 확충 등 계획 언급

울산 124번 수소버스/연합뉴스울산 124번 수소버스/연합뉴스



정부가 차세대 에너지 경쟁에서 고지를 점하기 위해 올해 수소 에너지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수소 시범도시를 3곳 지정한다. 수소버스도 2022년까지 2,000대 확충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2019년도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국토부는 우선 ‘수소 에너지 기반 시범도시’를 신도시 등지를 대상으로 연내 3곳 내외 선정해 마을·도시 단위에서 수소 에너지 생산-관리-이용 생태계 구축에 돌입한다.

수소도시는 기존 도시형과 대규모 실증형으로 나뉘어 조성된다. 기존 도시형에는 수소충전소를 구축하거나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공동주택·오피스 빌딩에 적용하는 방안 등이 시행된다. 대규모 실증형은 도심 수소 생산시설, 수소 파이프라인,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수소관리 등 전반적인 수소 에너지 체계를 실험하게 된다.


국토부는 또 입지규제를 완화하고 수소 에너지 도시인프라 기준과 수소친화적 도시 설계기법을 마련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고려대와 에너지기술연구원이 5월까지 수소도시의 개념부터 시범도시에 구현될 기술과 서비스를 담은 수소 시범도시 모델을 마련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친환경 교통체계 조성을 위해 버스를 중심으로 수소차를 조기 양산, 대중교통을 수소차로 전환하려는 노력도 시작한다. 수소버스는 올해 서울과 부산 등지에서 35대가 운행을 시작해 2022년까지 2,000대가 확충된다. 기존 버스를 수소버스로 바꾸기 위해 폐차할 경우 운영 보조금을 지급하고 친환경 연료보조금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수소버스를 도입한 사업자에 대한 면허 기준도 친환경 차량 가중치를 상향하는 방식으로 완화한다.

더불어 수소버스 충전·정비 기반시설을 갖춘 복합환승센터를 경부선과 일산, 과천 방면 등 세축으로 구축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서울 시내에서 환승센터를 거쳐 경기도 지역으로 이어지는 수소버스 노선이 신설되면 노선당 8~10대의 수소버스가 운행될 수 있다.

수소충전소는 고속도로에 올해 10기를 착공하고,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 등 주요 거점에도 점차 확충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입지 규제개선을 병행해 공영 차고지 내에도 수소충전소를 건설할 수 있도록 지자체들과 협의할 예정이다.
/신화 인턴기자 hbshin1207@sedaily.com

신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