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노사, 광주형 일자리 관련 고용안정 특별합의서 도출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왼쪽)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가 1월 31일 오후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이용섭 광주광역시장(왼쪽)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가 1월 31일 오후 광주광역시 서구 광주시청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와 관련해 기존 조합원의 고용안정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은 특별 합의서를 도출했다고 7일 밝혔다.

노조에 따르면 노사는 이날 오후 울산공장 본관에서 특별 고용안정위원회를 열고 ‘위탁생산 신설법인 관련 특별 합의서’를 만들었다.


이 합의서는 ▲ 회사는 위탁생산으로 인한 고용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현재 생산하지 않는 경차급 차종을 위탁생산 신설법인에 투입하며, 국내공장에서 생산 중인 동일 차종을 위탁 생산하지 않는다 ▲ 위탁생산 신설법인 생산과 관련된 사항은 매월 지부(노조)에 통보한다 ▲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 발생 시 단체협상에 의거해 고용안정위원회를 통해 노사 간 심의·의결한다는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즉, 광주형 일자리 추진에 따라 광주광역시에 신설되는 연간 10만대 생산공장 수익성이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상대적 경쟁력이 있는 현대차 차종을 투입할 수 없도록 막고, 기존 조합원 고용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이다.


노조는 다만, 아직 이 합의서에 서명한 것은 아니며 향후 조합원들에게 설명한 후 의견을 모아 서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 합의서가 정식으로 통과되면 광주형 일자리를 둘러싼 고용불안 논란은 대폭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그동안 기존 공장 일자리 축소 등을 주장하며 광주형 일자리 추진을 반대해왔다.

노조 관계자는 “이번 합의서 도출은 고용불안이 없도록 조치하는 차원에서 진행된 것일 뿐이며 광주형 일자리에 대한 동의나 승인이 아니다”라며 “반대가 많다면 폐기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광역시가 한국노총 등 노동계와 협의해 근로자 임금을 기존 업계 수준보다 낮추고 현대차와 합작법인을 만들어 광주에 10만대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공장을 짓는 것으로 지난 1월 31일 타결됐다.

김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