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당국자 “北 비핵화 가능 여전히 믿어…압박전략은 유지”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P연합뉴스



미국 국무부 고위당국자는 북한 서해의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 움직임에 대해 “북한의 활동 의도를 좀 더 봐야 한다”면서도 대북 압박전략은 유지될 것이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정한다면 제재는 강화될 것이라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복구 움직임에 대해 “우리는 이에 대해 익숙하며 잘 알고 있다”며 “우리는 분명히 북한 내 진행 상황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북한이 화가 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는 보고서 분석 내용’에 대한 질문에는 “어떤 의도인지는 좀 더 봐야 할 것”이라면서 “똑같은 결론을 낸 건 아니다. 왜 이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론에 달할 준비가 안 돼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특히 ‘위성 발사도 북한 스스로 선언한 (핵·미사일 실험) ’유예‘ 방침을 위배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비공개적으로 논의했을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겠다”면서도 “우주 발사체 발사라 해도 북한이 한 약속에 부합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 대해서는 “인프라의 일부이긴 하지만 현시점에서 중대한 부분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당국자는 “제재는 유지되고 있다”며 “이러한 제재를 확대할지를 결정할지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대통령의 결정에 달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일부 제재 회피가 이뤄지고 있다는 걸 모두 잘 알고 있지만, 제재가 경제에 참담한 효과를 미치고 있다면서 “경제적 제재를 유지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이 그들에게 제시한 방향으로 가기로 결심한다면 그들 앞에 밝은 미래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당국자는 특히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에 대한 제재 면제를 검토하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비핵화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시키는 대화를 할지에 대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그 공은 궁극적으로 북한의 코트로 넘어갔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와 함께 트럼프 행정부 첫 임기 내에 북한의 비핵화가 달성 가능하다고 여전히 믿는다고 밝혔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