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양대 노총, 경사노위 파행 싸고 정면충돌

한노총 "소외계층 대표 겁박·회유해 사회적 대화 무산"

민노총은 "도 넘은 왜곡 발언… 비난 대상 민노총 아냐"

양대 노총이 탄력근로제 개편안을 둘러싼 의견 차이로 난항에 빠진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를 두고 충돌했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이 민주노총을 향해 경사노위의 소외계층 대표를 겁박해 사회적 대화를 무산시켰다고 작심하고 비판하자 민주노총은 도를 넘는 왜곡이라며 맞섰다.


김 위원장은 8일 여의도 한국노총 컨벤션홀에서 열린 창립 73주년 기념식 기념사에서 “사회적 대화 참여 여부를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는 조직이, 총파업으로 노동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호언장담한 조직이 청년·여성·비정규직 등 사회 소외계층 대표들을 겁박하고 회유해 사회적 대화를 무산시킨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행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책임 있는 내셔널센터라면 보여선 안 될 행동이었다”고 덧붙이며 민주노총을 겨냥했음을 암시했다.

관련기사



경사노위는 전날 예정됐던 본위원회에 청년·여성·비정규직 대표 3명이 불참하면서 의결 정족수를 못 채우고 문재인 대통령도 참석을 취소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은 여기에 민주노총의 보이지 않는 압박이 있었다는 관측을 의식한 비판으로 보인다.

민주노총도 이날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논평을 내 “심한 왜곡을 담고 있다”며 “도를 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경사노위 계층별 노동자위원들에게 털끝만큼의 부담이라도 더해질까 두려워 위로나 격려의 인사조차 건네지 못하고 있다”며 “김 위원장이 비난할 대상만큼은 민주노총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날 두 노총의 충돌은 경사노위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민주노총과 노동계 대표로서 사회적 대화를 이끌고 있는 한국노총간이 국내 노동운동의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이 표면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경사노위는 전날 본회의 의결이 무산된 탄력근로제 개편안 등에 대해 오는 11일 재의결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