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아이] 習, 잇단 부양카드에도...제조업 단기 회복 어려울듯

■무역전쟁 후폭풍...中 수출 20% 급락

춘제 변수 감안해도 하락폭 커

대미 흑자 안 줄어 추가 압박 빌미

각국 보호무역 확대도 악영향

中 올 6%대 성장률 사수 불투명 속

美 "中 성장률 2%P씩 부풀렸다"

경기둔화 속도 더 가파를 수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7일(현지시간)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열리고 있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간쑤성 대표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7일(현지시간)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열리고 있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간쑤성 대표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베이징=신화연합뉴스




0915A15 중국 무역수지


중국을 덮친 경기둔화의 전환점은 지난해 12월이었다. 앞서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미중 무역전쟁의 타격에도 그럭저럭 버티던 중국 경제는 지난해 말부터 눈에 띄게 고꾸라지기 시작했다. 수출제조업이 타격을 받으면서다. 올해 들어 하락세가 가팔라지면서 2월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20% 이상 급감하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중국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6~6.5% 구간’을 사수하기 위해 각종 부양책을 동원하고 있지만 제조업 단기회복이 어려워 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2월 수출입이 급감한 것은 중국 경제가 직면한 내우외환을 잘 보여준다. 미국의 관세 폭탄과 함께 유럽 등 글로벌 경기둔화의 여파로 중국산 수출품의 수요가 크게 줄고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중국 내수가 줄어들면서 수입도 상당폭 감소했다. 쌍끌이 악재인 셈이다.


수출액이 전년동월 대비 20.7%나 급감한 데는 이달에 끼여 있던 춘제(설)의 영향이 적잖이 작용한 것도 사실이다. 춘제 연휴 기간에는 중국 내 전 산업 분야에서 일주일 이상 공장 가동을 멈추기 때문에 수출감소가 불가피하다. 1월 수출액이 전년동월 대비 9.1% 깜짝 증가한 것도 지난해 춘제 연휴가 1월에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미국의 관세 폭탄과 다른 나라들의 견제가 중국 수출에 본격적으로 타격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2년 동안 줄곧 플러스 성장을 하던 수출은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전년동월 대비 4.4% 감소했다. 무역전쟁에도 불구하고 밀어내기 수출로 버텼던 중국이 한계에 다다른 것이다.

수출은 올 들어 1월에 반짝 증가(9.1%)했지만 2월에 더 큰 폭으로 고꾸라졌다. 춘제 연휴로 인한 왜곡을 배제하기 위해 1~2월을 합친 무역통계를 살펴보면 중국 수출액은 3,532억1,000만달러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난다. 같은 기간 수입 역시 3,095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1% 줄었다.


특히 3년 만에 20% 이상 수출이 뒷걸음질친 지난달은 춘제라는 변수를 감안하더라도 하락폭이 크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집계해 2월 수출이 전년동월 대비 5%가량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망도 밝지 않다. 무역전쟁에 더해 유럽 등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중국의 신규 수출주문량이 줄어드는 등 제조업 경기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이보다 앞서 공개된 2월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2로 2016년 2월 이후 3년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그동안 잘 버티던 제조업 PMI는 지난해 12월 49.4를 기록해 2년여 만에 기준선인 50 밑으로 내려왔다. 2월에는 더 나빠지며 3개월 연속 ‘경기 위축’ 국면에 머물러 있는 상태다. 카를로스 카사노바 코페이스 아시아태평양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경기둔화와 보호무역주의 확대로 중국 무역의 위축이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게다가 최근 미중 무역협상이 진전을 보이면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가 연기되기는 했지만, 지난해 7월부터 주고받은 관세 폭탄은 여전히 유효하다. 중국과 무역분쟁 중인 미국은 대중 무역적자를 해소하겠다며 지난해 7월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9월에는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매긴 바 있다.

미중 무역전쟁의 빌미가 된 양국 간 무역불균형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도 중국에는 악재다. 전반적인 수출감소에도 대미 무역흑자가 확대되면서 미국에 추가 압박의 빌미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 1~2월 대미 무역흑자는 421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겨우 0.02% 줄어드는 데 그쳤다.

이 같은 현실을 고려해 중국 당국은 올해 경기전망을 지난해보다 훨씬 낮춰잡고 있지만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중국 정부가 사수해야 하는 ‘6% 성장’ 달성은 갈수록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 소비촉진, 감세 등과 같은 조치를 발표했지만 이런 조치들로도 목표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는 중국 정부의 성장률 발표 수치가 실제보다 2%포인트가량 부풀려졌다며 통계조작 의혹을 공론화해 중국 경기둔화 속도가 중국 당국의 주장보다 훨씬 가파른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브루킹스가 7일(현지시간) 내놓은 분석 보고서는 2008~2016년 지표를 토대로 했지만 성장률이 한층 둔화하고 있는 지금까지 통계 왜곡이 이어지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리커창 총리는 앞서 5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 정부 업무보고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지난해 달성한 성장률 6.6%에서 ‘6.0~6.5% 구간’으로 사실상 전년 대비 0.6%포인트 내려 잡았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