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기 부진에...민자 SOC 속도낸다

정부, 내주 민자사업 기본계획 발표

서울시가 이르면 다음 달 위례신사선(위례신도시~서울 신사동) 경전철 건설사업자 선정을 위한 공고를 낸다. 지난해 10월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 이후 6개월 만에 사업 공고까지 내는 등 속도를 내는 것이다. 지난달 24조원 규모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로 지방 경기 활성화에 나선 정부가 민자 투자까지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경제활력 제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오는 13일 경제활력 대책회의를 열어 민자사업 계획 기본방향을 상정한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경제성 등 사업 적격성 조사를 통과한 사업들 가운데 올해 착공이 가능한 사업들과 신규로 발굴한 수익 창출 가능 프로젝트를 경제활력 대책회의에서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이를 위해 각 지자체 등 주무 관청에 조기 착공이 가능한 프로젝트와 신규 사업이 무엇이 있는지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일부 완충 저류시설이나 폐수관로 개량 사업들의 민자사업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됐다.


위례 지역주민 숙원사업인 위례신사선 사업의 공고도 이르면 다음 달 중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는 앞서 “적격성 조사를 통과한 대형 민자사업을 조기에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주무관청인 서울시가 약 90일 간 공고를 내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고, 6개월~1년간 세부 사업계획을 놓고 협상을 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관계기관 검토와 심의 절차가 남아 있어 4월 중 공고는 어려울 수 있지만 올 상반기까지는 최대한 공고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민자사업에 대한 적격성 조사는 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가 진행한다. 지난 2017년 총 11건의 주무관청 제안 사업에 대한 적격성 조사를 실시했고 이 가운데 7건(조건부 승인 1건 포함)에 대해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지난해에는 총 19건에 대한 적격성 조사 신청을 주무관청들로부터 받았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 프로젝트의 추진이 정부 독려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기재부는 이와 별도로 모든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민자 형태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민간투자법 개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통해 의원입법으로 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예타 면제 발표가 경제성은 떨어지지만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필요한 사업들이었다면, 이번 민자사업 기본계획은 민간의 수익성 중심으로 개발 가능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종=한재영기자 jyhan@sedaily.com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