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화웨이 장비 보안조사...상반기중 결론"

김석환 인터넷진흥원장 기자간담

5G·클라우드 등 보안전략도 마련

김석환 한국인터넷진흥원장/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김석환 한국인터넷진흥원장/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



김석환(사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이 급증하는 사이버 침해 우려에 대비해 5세대(5G)·클라우드 등 보안 전략을 내놓기로 했다. 또 화웨이 등 5G 장비 보안 검증 결과도 상반기 중 발표한다.

김 원장은 지난 8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2년 국내 스마트공장이 3만개에 달하고 전 세계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260억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보안에 대한 언급은 없다”며 “오는 5월 말까지 스마트공장 등 융합보안 선도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KISA는 자율주행차, 재난·안전,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스마트 교통·물류 등 국민생활 안전에 밀접한 주요 6대 융합산업 분야를 선정했다.


김 원장은 “앞으로 5G로 비정상적 공격이 많이 들어올 것”이라며 “코어망 비정상 공격 탐지와 대응기술 개발 등 선도적인 5G 통신망 보안기술 연구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5G,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발전으로 사이버 공격이 지능화, 대규모화하고 있다”며 “사이버 위협정보 수집건수가 2017년 1억8,000만건에서 지난해 3억5,000만건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해 6억건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안전문가, 통신사 등으로 구성한 5G보안기술자문협의회에서 화웨이와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 등 모든 5G 기지국장비 보안검증을 하고 있다”며 “상반기 중 얘기가 나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모바일 전자고지 등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에도 힘쓸 방침이다. 그는 “2021년까지 전자문서 활용률 70%가 달성되면 1조1,000억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며 모바일 전자고지 시범적용 등 성공사례가 사회 전 분야로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기술발달에 따른 편익과 함께 보안 위협 등에 따른 비용도 한 테이블에 올려놓고 고민해야 한다”며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