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천안종축장 부지 '한국형 제조혁신파크' 시동

충남 기본구상 수립 연구용역 착수

국토연구원과 10개월간 공동 진행

충남도가 천안종축장을 ‘한국형 제조혁신파크’로 조성하기 위한 기본구상 수립에 나선다. 도는 최근 ‘천안종축장 이전부지 활용 기본구상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일제 강점기인 1906년 조성된 천안종축장은 총면적 419만㎡ 규모로 건물 164동(8만7,000㎡)에 축산과학원 4개과 183명이 소·돼지 종자를 개발하고 있다. 충남도는 천안종축장의 방역·연구 등 기본 환경이 악화된데다 인근에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등 국가 기간산업이 입지한 중부권 최대 산업 클러스터지역인 점을 들어 지난해 8월 ‘지역과 함께 하는 혁신성장회의’에서 천안종축장 활용 한국형 제조혁신파크 조성을 국가 프로젝트로 추진해 줄 것을 공식 제안했다.


한국형 제조혁신파크 내 도입 가능한 기능으로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기술 연구개발센터를 비롯 스마트팩토리 원스톱 기업 지원 체계, 스마트팩토리 A&E(아카데미와 이트레이닝) 센터, 자동차 및 기계부품 테스트베드, 도시첨단산업단지, 스마트팜, 자율주행차 부품단지, 파워반도체 실증센터 등을 꼽고 있다.

관련기사



천안종축장은 지난해 11월 새로운 이전 부지로 전남 함평이 선정되고 지난 1월 제6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는 ‘국유재산 토지 개발 선도 사업지’로도 지정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국토연구원과 경동엔지니어링이 10개월 간 공동 진행한다.

충남도는 천안종축장 및 인근 지역의 자연과 인문·사회·경제적 환경을 조사하는 한편 관련 법령 및 상위 계획을 검토하고 유관 사업 추진 관련 여건 변화를 조사·분석한다. 또 국가 및 충남도의 미래 핵심 성장거점화를 위한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유치 시설의 종류 및 개발 규모를 설정한다. 아울러 도입 기능 설정에 따른 국내·외 유사 사례를 조사하고 구역 경계 설정, 기본 방향 설정, 토지 이용 구상, 교통·녹지 및 시설물 배치 계획 구상 등도 도출한다. 충남도는 이와 함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사업 추진 로드맵과 사업 방식, 재원 조달 방안 등도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찾을 계획이다.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원석과도 같은 천안종축장 이전부지는 앞으로 충남을 넘어 대한민국 미래 발전의 중심축이 될 것”이라며 “미국 실리콘벨리와 중국 선전특구와 같이 미래 100년을 내다볼 수 있는 대한민국 핵심 거점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개발 방향과 추진 전략을 마련, 정부에 제시하고 국가 차원의 정책으로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홍성=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