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권한과 예산' 구군 등에 넘긴다…부산형 분권 '속도'

12일부터 행사 조직위원장직 내려놓고

재정분야 부산형 분권 모델 본격 구축

기초단위 이양사무 발굴 등도




오거돈(사진) 부산시장이 그동안 시장이 당연직으로 맡아왔던 각종 민간 행사 조직위원장직을 내려놓는다. 행사도 구·군과 민간에 이양하고 있다. 구·군 조정교부금을 조정해 예산 편성의 자율권을 높이는 등 광역자치단체의 권한과 예산을 기초자치단체로 나누기 위한 작업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오거돈식 부산형 분권이 속도를 낸다.

11일 부산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12일 열리는 부산건축제 정기총회에서 조직위원회 위원장직을 민간에 넘길 예정이다. 행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다. 오는 6월께 열리는 부산국제매직페스티벌의 조직위원장 자리도 내려놓는다. 지난달 25일 열린 부산국제단편영화제조직위원회 정기총회에서는 행사 민간화 추진을 제안하기도 했다. 각종 지역 축제들은 이미 구·군 자율 개최라는 방침 아래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그동안 부산시가 주축이 돼 개최하던 새해 해맞이 행사는 올해부터 자율적인 주민 축제로 전환됐다.


구·군 맞춤형 예산편성과 사전 협의 체계를 시스템화하는 ‘재정분야 부산형 분권 모델’도 구축하고 있다. 여기에는 오 시장의 ‘예산 없이 분권 없다’는 생각이 반영됐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지난 7일 총 1,280억 원을 구·군 민생안정 추진을 위한 재원으로 제1차 추경예산에 편성했다. 2015년 조례 개정을 통해 조정교부금의 비율을 2017년 19.8%에서 22%까지 확대한 바 있으나 부산시는 이에 그치지 않고 구·군 예산의 자율성 확보를 위해 조정교부금, 시비보조금 등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방안을 연구 중에 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조례개정 등 후속조치가 단행되면 기초자치단체 예산편성 자율권과 현장밀착형 행정에 더욱 힘이 붙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이양사무 발굴도 적극 추진한다. 부산시는 올해 1월9일자 조직개편을 단행해 기존의 자치행정과를 자치분권과로 명칭을 바꾸고 자치분권팀을 신설했다. 현재 부산시와 구·군 간 이양사무도 적극 발굴, 권한을 대폭 나누기 위한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특히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한 최적화된 부산형 분권 모델 개발 연구(한국지방행정연구원)가 진행 중이다.

부산시는 민선 7기를 맞아 그동안 권한, 예산 등 수직적 종속관계였던 부산시와 자치구 관계를 수평적 동반관계로 혁신하기 위한 ‘오거돈 식 부산형 분권모델’을 선언했다. 부산시는 분권 실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선결요소인 시민공감대 형성에도 노력하고 있다.기존 시민 대상 대형 행사에서 일방적인 강의방식을 버리고 지역주민을 직접 찾아가 실생활 사례 위주의 쌍방형 맞춤형 교육인 ‘자치분권 시민공감’ 사업을 통해 주민 지지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오 시장은 “분권은 부산시의 행정적 노력만으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며 “기초자치단체 단위를 중심으로 시민의 일상생활에 스며들 때 진정한 분권이 실현되고 시민의 삶도 훨씬 행복해진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