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20년 안팎 간접흡연 50대, 만성 콩팥병 위험 1.5배↑

박정탁·이종현 교수팀 분석

가정·직장서 여성 집중 노출




20년 안팎 간접흡연한 50대라면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은 같은 또래에 비해 만성 콩팥병 발병 위험이 1.5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지종현 인하대병원 신장내과 교수팀이 간접흡연 노출 여부에 따른 만성 콩팥병 발병 위험을 비교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이 지난 2001~2014년 한국 유전체학 및 역학연구 대상자 13만여명(평균 53세, 여성 75%)을 분석해보니 12.7%가 가정·직장에서 간접흡연 피해자였다. 간접흡연 장소는 가정 60%, 직장 24%, 가정+직장 16%였다. 이들의 간접흡연 기간은 주 3일 미만 노출군(여성 80%)이 평균 17년, 주 3일 이상 노출군(여성 89%)이 평균 22년이었다.


이 중 간접흡연기간이 파악되는 12만5,371명 중 2,575명을 평균 8년 8개월 동안 추적해보니 간접흡연군 295명(11.5%)의 만성 콩팥병 발병 위험은 간접흡연 비노출군의 1.48배(주 3일 미만 노출 1.72배, 3일 이상 노출 1.44배)로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의 발병위험인 1.37배보다 높았다. 나이·성별·소득수준과 고혈압·당뇨병 이력 등에 따른 차이를 보정한 결과다. 만성 콩팥병은 10년 이상 지속되는 간접흡연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관련기사





연구팀이 추가로 간접흡연자 1,948명을 추적해보니 16.4%(319명)에서 만성 콩팥병이 발생했다. 간접흡연자의 만성 콩팥병 발병위험은 간접흡연 비노출군의 1.64배(주 3일 미만 노출 1.59배, 3일 이상 노출 1.66배)였다.

박정탁 교수는 “흡연이 콩팥병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간접흡연의 영향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만성 콩팥병 발병 위험을 약 1.5배 이상 높이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가정·직장에서 보다 신경을 쓰고 정부도 금연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신장학학회 학술지 ‘CJASN(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에 발표됐다.

콩팥은 몸에서 노폐물·독소를 배출하고 미네랄 등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만성 콩팥병은 분당 1,000㎖의 혈액을 걸러내는 콩팥 사구체(絲球體)의 여과장벽이 망가져 여과율이 3개월 이상 1.73㎡당 60㎖ 미만으로 떨어져 있거나 체내에 필요한 단백질·적혈구가 소변으로 빠져나가 단백뇨·혈뇨가 발생한다. 만성 콩팥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당뇨병·고혈압·고지혈증·비만과 흡연 등이다. 만성적인 콩팥 기능이상은 빈혈·고혈압·폐부종과 위장관 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