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5월 등산사고 급증···“봄철 산행 안전수칙 준수”

‘국립공원 산행정보’ 휴대폰 앱 활용하면 안전산행 도움

서울 도봉산 계곡에서 119특수구조단 특수구조대원들이 산악사고 인명구조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도봉산 계곡에서 119특수구조단 특수구조대원들이 산악사고 인명구조 훈련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따뜻한 봄 날씨에 산을 찾는 인파가 증가하면서 행정안전부가 산행안전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14일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국립공원 총 탐방객 수는 3,200만명에 이르며 2013~2017년 5년간 연평균 3,129만명에 달한다.

행안부 재난연감 통계를 보면 최근 2013~2017년 등산사고는 봄철인 3~5월에 사고가 급격하게 많아진다. 사상자 수는 2017년을 기준으로 1,292명(사망 25, 부상 1236, 실종 31)으로 가을철(9~11월)에 이어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봄철에는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낙석 등 해빙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 간 낙석사고는 봄철 해빙기에 집중돼 있다”며 “공단에서는 설악산 등 주요 등산로 6곳에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우회탐방로 개설과 낙석방지책 설치 등 낙석사고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료 : 행정안전부자료 : 행정안전부


안전한 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아침 일찍 산행 시작, 일몰 2시간 전 하산 △비상상황 대비 랜턴·우의·휴대전화·상비약 등 준비 △30kg 이상의 짐 지지 않기 △정해진 등산로 준수 △낙석 발생 위험 있는 협곡 등 피하기 △날씨 정보 확인 및 보온용품 준비 등의 안전수칙을 익히고 이를 준수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의 ‘국립공원 산행정보’ 휴대폰 앱을 활용하면 안전지수를 반영한 안전한 등산로 소개, 날씨정보, 조난신고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봄철 산을 찾는 경우 반드시 정해진 등산로를 이용해야 한다”며 “그늘진 곳 등 땅이 얼어있는 지점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