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 광주시, '신익희(해공) 선생 민주평화상' 제정…임정 100주년 맞아

경기 광주시는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끈 지역 출신 독립운동가 해공 신익희(1894∼1956년) 선생을 기리는 ‘해공 민주평화상’을 제정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신익희 선생이 태어난 7월, 민주평화에 대한 기여와 의지가 확고하고 존경을 받는 이에게 해공 민주평화상을 수여할 계획이다. 또 7월 8∼14일을 해공 기념주간으로 정해 신익희 선생의 사상과 업적을 고찰하는 포럼과 세미나·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청소년들을 위한 해공 사진전시회·토크쇼 등도 마련하고 창작 뮤지컬 ‘해공 신익희’를 공연한다. 광주 시내에서 퇴촌면, 팔당호로 연결되는 경안천 둘레길 탐방 코스에 초월읍에 있는 신익희 선생 생가를 포함해 지역 명소로 육성할 방침이다.


신익희 선생은 지난 1894년 경기 광주에서 태어나 일본 와세다대 유학을 마치고 서울 중동학교와 보성법률상업학교에서 교육에 힘쓰던 중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고 중국으로 망명했다.

관련기사



선생은 중국 상하이에서 임시정부 조직을 위한 비밀회의에 참여하고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국호, 관제, 임시헌장을 의결·선포하는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에 기여했다.

임시정부 법무·내무·외무차장, 국무원 비서장, 법무·외무총장, 내무·외무·문교부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을 한 선생은 광복 이후 조국으로 돌아와 지난 1948년 제헌국회 부의장을 맡는 등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힘썼다.

선생은 지난 1950년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돼 국회의장에 올랐고, 1956년에는 민주당 공천으로 대통령에 입후보했으나 1956년 5월 5일 선거운동 중 서거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