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집없는 서민 25만가구 임대주택·전세보증금 등 지원

올 '주거종합계획안' 발표

경기도가 올해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총 4만1,000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한다. 저소득층 21만4,000가구에게는 주거비도 지급한다.

또 올해 처음으로 취약계층 50가구에 최대 1억원까지 전세보증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종수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올해 ‘경기도 주거종합계획안’을 발표했다.


도는 우선 2만9,000호의 공공건설임대와 매입·전세임대 1만2,000호 등 임대주택 총 4만1,000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수요자 중심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정책으로 주거복지 전달 시스템인 광역단위 주거복지센터도 이르면 다음 달에 경기도시공사에 설치한다. 센터는 저소득층 등 주거 취약계층에 공공임대주택 입주, 주거비 지원, 주택개량 등 다양한 주거복지사업을 소개하고 연결시켜는 역할을 하게 된다.

관련기사



재정의 직접 지원도 확대한다. 도는 주거급여 대상자 21만4,000가구 중 21만3,000가구에는 월평균 약 13만8,000원의 월세를, 집을 소유한 1,000가구에는 최대 1,026만원의 주택개량비를 지원한다. 올해부터는 벽걸이형 냉방기도 지원항목에 포함하기로 했다.

특히 도는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화 주택 개보수 사업인 햇살하우징 450호 △민간의 재능기부 주택 개보수 사업인 G-하우징 사업 110호 △장애인주택 개조사업 145호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취약계층에 대한 주거 금융지원도 확대하는 동시에 매입임대주택 신규 입주자 2,330가구에 대해 임대보증금을 호당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이밖에 올해 신규사업으로 취약계층 50가구에 대해 최대 1억원까지 전세보증금을 지원하고 저소득층 860가구는 전세금 대출보증과 대출 이자를 지원할 방침이다. 여기에 도가 공급하는 임대주택인 ‘경기행복주택’은 오는 2022년 1만호 공급을 목표로 올해 사업승인 363호, 착공 4,485호, 입주 1,316호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도민 주거 만족도와 건설품질 향상을 위해 기존에 시행하던 공동주택 품질검수와 보수공사에 대한 기술자문 활동을 올해 500실 이상 주거용 오피스텔까지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 9개소 선정을 목표로 국토부와 적극 협의해 경기도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역시 차질없이 추진한다.

이종수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도민의 ‘주거권’ 보장 및 수요자 기반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를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취약계층 주거지원 강화 등 주거안정 정책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