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가뭄 피해 막기…강물 농경지로 끌어오는 양수장 늘린다

올해 가뭄 종합대책 발표…산간지역 상수도시설을 확충

경기도가 매년 계속되는 가뭄 피해를 막기 위해 강물을 농경지로 끌어오는 양수장을 늘리기로 했다.

또 소규모 관정이나 계곡 물에 의지하는 산간지역에는 상수도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가뭄 종합대책’을 마련, 시행한다고 28일 밝혔다.

도는 오는 5월까지는 물 부족 현상이 없을 것으로 예측한 정부 발표에 따라 단기 대책보다는 가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근본적 대책에 더 집중할 계획이다.

도는 우선 새로운 물 자원 확보를 위해 올해 440억원을 들여 임진강, 남한강, 평택호의 물을 활용하는 농촌용수개발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다. 이 사업은 강이나 호수의 물을 송수관을 통해 농업용수가 부족한 지역 농경지로 보내는 것이다.


또 임진강수계 이용 사업은 175억원을 투입해 양수장 6개, 도수로(취수시설에서 물을 끌어오기 위해 설치하는 수로) 40km를 설치, 임진강 물을 파주, 고양, 연천군의 농업용수 부족지역에 공급하는 것으로 오는 2020년 완공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농경지 6,679ha에 농업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남한강수계 이용 사업은 양수장 7개, 송수관과 용수관 240㎞를 설치해 남한강 물을 여주, 이천시 지역 농경지 4,400ha에 공급하는 것으로 오는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도는 110억을 투입한다.

관련기사



평택호수계 이용 사업은 평택호 물을 평택, 안성시 지역 농경지 2,435ha에 공급하기 위해 양수장 3개소, 송수관 36km를 건설하는 일이다. 총 사업비 461억 원 중 올해 155억 원을 투자한다.

물 저장 및 공급시설에 대한 보수, 보강 공사 등 물 시설강화 사업도 추진한다.

도는 올해 247억원을 들여 여주시 등 20개 시·군 내 시설이 낡은 저수지와 보, 양수장 등 32개소를 보수·보강할 방침이다. 배수로 개보수 사업, 노후 농업용 공공관정 정비 등도 함께 추진한다.

이밖에 소규모 관정이나 계곡 물에 의존하는 도서 산간지역 등 급수취약지역 주민을 위한 지방상수도 확충 사업도 계속 진행된다. 도는 올해 223억원을 투입해 가평군 등 10개 시·군에 관로 103.7km, 정수장 2개소, 배수지 1개소, 가압장 15개소 등 상수도 시설을 확충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안성, 이천, 화성, 여주, 평택 등 5개 시군을 대상으로 추진했던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뭄예측시스템은 올해 대상 시군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활용에 들어간다. 이 시스템은 지도기반 서비스에 관정, 저수지, 양수장 등 각종 수자원 정보와 기상정보를 연결한 후 가뭄 예측모형을 통해 가뭄취약지역을 분석·예측하는 것이다.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사전에 가뭄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송재환 경기도 안전관리실장은 “농어촌공사·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혹시 있을 수도 있는 가뭄에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면서 “근본적 가뭄대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