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임진왜란 의병장 최경회 장군 ‘4월 호국인물’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왜군에 맞선 최경회(1532~1593) 장군이 ‘4월의 호국인물’로 꼽혔다.

,



1532년 전남 화순읍에서 태어난 장군은 1567년에 문과에 급제, 사헌부 감찰, 형조 좌랑, 영암 군수, 담양 부사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좌도 의병장으로 각 고을에 격문을 보내 화순과 능주 등에서 800여 명의 의병을 모았다. 장군의 형제, 조카, 아들도 의병에 동참했다.


장군의 의병부대는 담양과 순창, 남원을 거치며 군세가 불어나 ‘우의병(右義兵)’이라는 부대명도 얻었다. 전라 우의병은 금산전투, 무주대첩 등의 공을 세웠다. 왜군들이 호남을 점령하고자 진주성으로 집결하자 우의병을 이끌고 진주 목사 김시민과 1차 진주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관련기사



1593년 6월 가토 기요마사가 10만 왜군을 이끌고 다시 진주성을 침략하자, 장군은 병사 700여 명을 이끌고 창의사 김천일 등과 진주성 사수에 나섰다. 10만 대군의 공격에 맞서 열세에도 무려 9일간 진주성 방어에 성공했지만, 진주성은 결국 무너졌다.

장군은 김천일, 고종후와 촉석루에 올라 임금의 처소인 북쪽을 향해 4배를 한 후 스스로 남강에 투신해 순절했다. 사후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됐으며 시호는 충의(忠毅)이다. 오는 4월 4일 오후 2시 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 고인을 추모하는 현양행사가 열린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