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총격 테러 충격 여전한데…유럽서 ‘가짜 테러신고’ 잇따라

테러대응 혼선 우려

공권력 낭비·국민불편

총격테러가 발생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알누르 모스크(이슬람사원) 앞에 3월18일(현지시간) 학생들이 모여 촛불을 밝히며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크라이스트처치=AP연합뉴스총격테러가 발생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알누르 모스크(이슬람사원) 앞에 3월18일(현지시간) 학생들이 모여 촛불을 밝히며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크라이스트처치=AP연합뉴스



무차별적인 총격 테러의 충격이 아직 가시지 않은 가운데 유럽에서 ‘가짜 테러신고’가 잇따르고 있어 당국의 테러대응에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31일 덴마크 언론 보도에 따르면 덴마크 경찰은 지난 29일 코펜하겐 중앙역에 폭발물을 설치했다고 거짓으로 신고한 혐의로 27세 청년을 체포했다.


이 청년은 지난 28일 오전 8시 30분께 코펜하겐 중앙역에 폭탄을 설치했다고 거짓으로 신고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대규모로 현장에 출동해 1시간 30분 동안 대대적인 폭탄 수색작업에 나섰지만 아무것도 찾아내지 못했다.

경찰은 수색작업을 마친 이날 오전 10시께 트위터에 글을 올려 “의심스러운 상황에 대해 조사했으나 다행히 근거 없는 신고로 확인돼 코펜하겐 중앙역에 대한 수색작업을 마쳤다”고 했다. 이후 경찰은 거짓 신고에 대한 조사를 통해 27세 청년을 체포했다.


앞서 지난 15일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의 이슬람사원 두 곳에 대한 테러가 발생한 다음 날 벨기에에서는 뉴질랜드 테러에 대한 보복으로 제2의 도시 앤트워프의 중앙역에서 자동소총으로 테러하겠다는 익명의 메시지가 접수돼 당국이 바짝 긴장했다.



경찰은 이 협박 메시지를 추적해 20대 청년을 체포했다. 이 청년은 그러나 “장난삼아 그랬다”며 선처를 호소해 많은 사람을 허탈감에 빠뜨렸다.

또 지난 18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한 다음 날인 19일엔 EU 본부 인근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신고가 접수돼 시민들이 대피하고 경찰이 긴급 수색에 나서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가짜 테러 위협 신고가 잇따르면서 각국의 대테러 당국은 가짜 테러신고를 엄벌하고, 가짜 신고로 인한 손실·시민들의 불편 등을 감안, 민사소송을 제기해 막대한 손해배상을 부과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일례로 벨기에 법정은 최근 수차례 가짜 테러 신고를 한 20대에 대해 34만 유로(4억4,000여만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

하지만 이 같은 당국의 강경 대응 방침에도 가짜 테러 위협 신고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어 당국의 고민이 적지 않다. 당국은 테러 신고가 접수되면 ‘거짓 신고’임이 확인될 때까지 실제 위협과 동일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엄청난 공권력의 낭비를 초래한다. 또 안전이 확인될 때까지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교통을 통제하고 있어 가짜 신고 때마다 일반 국민은 이런 모든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