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사이버 보안 사고에...기업 '사과·설명' vs 소비자 '보상' 중시

KPMG인터내셔널 4,000명 설문

◇사이버 보안 문제 발생 시 우선시하는 사항(단위:%)

내용 소비자 보안책임자
모든 피해에 대한 보상 42 42
취약점 조치 여부 증명 35 8
신용정보·개인정보 도용에 대한 지원 31 46
문제 상황과 해결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28 35
피해에 대한 사과 24 47
보안팀에 직접 문의할 수 있는 방안 제공 20 47
언론 공개 전 피해사실 전달 17 33
*자료:KPMG인터내셔널


개인정보 유출 같은 사이버 보안 사고가 발생할 때 기업은 사과를 우선시하지만 소비자는 피해 보상과 원인 해결을 중시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회계·컨설팅자문사인 KPMG인터내셔널은 5일 ‘고객정보 유출지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KPMG인터내셔널은 전 세계 2,151명의 소비자와 1,802명의 기업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를 대상으로 이번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 결과 소비자의 42%(복수 응답)는 사이버 보안 문제가 발생할 때 우선시하는 사항으로 ‘피해 보상’을 꼽았다. 이어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 취약점을 찾아 조치했는지 증명해야 한다(35%)’ ‘신용정보·개인정보 도용 피해 고객 지원(31%)’ ‘문제 상황과 해결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28%)’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반면, 기업 보안책임자들은 보안 사고 발생 시 사과와 설명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와는 중시하는 사항이 조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질문에 대해 기업 보안책임자들은 ‘사과 의사 전달(4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보안 관련 문의 창구 제공(47%)’ ‘신용정보·개인정보 도용 피해 고객 지원(46%)’ ‘피해 보상 보증(42%)’ 등의 순으로 답했다.

사이버 보안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된 걱정 사항은 소비자는 개인정보 유출(69%), 기업 정보책임자는 회사의 재정 손실과 평판 악화(67%)였다.

아울러 소비자의 75%는 모바일 기기를 통해 수집된 개인정보가 악용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김민수 삼정KPMG 상무는 “이번 조사에서 기업 측 응답자의 83%가 사이버 보안을 기업 성장의 중요한 위험 변수로 평가할 정도로 기업 보안 전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단, 소비자와 기업 정보책임자 간 인식 격차가 큰 만큼 기업은 소비자 중심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해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