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리비아 사태에 이란산 원유수입 허용 연장될 듯

美, 국제유가 상승에 고민

수입량 감소조건으로 허가

칼리파 하프타르가 이끄는 리비아 국민군(LNA). /로이터연합뉴스칼리파 하프타르가 이끄는 리비아 국민군(LNA). /로이터연합뉴스



리비아 정정 불안에 국제유가가 들썩이면서 미국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5개국의 이란산 원유수입 허용기간을 연장해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국제유가가 오르는 와중에 리비아 사태가 악화하면서 원유공급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미국이 다음달 만료되는 이란산 원유수입국에 대한 예외 허용 조치를 갱신해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이란에 원유수출 제재 조치를 내리면서 일부 국가에 예외를 허용한 미국은 올 들어 베네수엘라산 원유수입을 금지했다. 이런 상황에서 하루 생산량이 130만배럴인 리비아마저 원유생산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수도인 트리폴리 진격을 선언한 칼리파 하프타르는 지난해 원유수출을 막으려고 한 바 있다. WSJ는 “백악관이 주요 원유생산국에 대한 제재를 조정해야 하는 까다로운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 정부 제재에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이 겹치면서 국제유가는 고공행진하고 있다. 지난 5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는 전날보다 1.6%(0.98달러) 오른 배럴당 63.0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1월 이후 약 5개월 만의 최고치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6월물은 1.08달러(1.4%) 상승한 70.48달러를 기록해 70달러를 돌파했다. 하반기에는 유가가 80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WSJ는 “트럼프 정부는 유가 급등을 피하려고 한다”며 “중국과 인도·터키·한국·일본 등에 이란 원유수입 연장을 허용하되 지난해보다 양을 줄이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