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米, 토종으로"

도내 쌀 재배면적 64% 외래품종…2021년까지 국산 벼 재배면적 51% 확대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이 9일 외래 벼품종 대체 국내육성 벼확대 재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이 9일 외래 벼품종 대체 국내육성 벼확대 재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오는 2021년까지 국산품종 벼 재배면적을 도 전체 벼 재배면적의 절반 이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도는 9일 경기미의 안정적 생산과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외래 벼 품종 대체 국내육성 벼 확대 재배계획안’을 발표했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이날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021년까지 국내에서 육성한 벼 품종 재배율을 36%에서 최대 51%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경기농기원은 오는 2021년까지 국산 품종 벼 재배면적을 현재 6,620ha에서 8,500ha로 10.9% 이상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경기도의 쌀 재배 면적은 총 7만 8,012ha이며, 이 중 64%는 외래 품종이 차지하고 있다. 추청(아끼바레), 고시히카리, 히토메보레 등 일본 종이 대다수다.

관련기사



경기농기원은 지난 2003년도부터 농촌진흥청과 함께 밥쌀용 벼 신품종을 육성했다. 그 결과 추청벼보다 밥맛이 좋고 병해충에도 강한 중만생종 밥쌀용 벼 품종 ‘참드림’, 한수이북지역에 잘 적응하는 중생종 ‘맛드림’ 및 추석 전 출하가 가능한 조생종 ‘햇드림’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내 각 시·군에서도 국산 신품종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이천시는 농진청과 공동 육성한 해들과 알찬미, 여주시와 화성시에서는 민간육성품종인 진상미, 수향미를 파주·안성·양평·연천·평택·고양 등에서는 참드림 품종을 지역 특화 브랜드로 육성 중이다.

김 원장은 “경기도농업기술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협경기지역본부, 경기도쌀연구회가 업무협약을 통해 안정적인 종자생산체계 구축해 재배매뉴얼에 의한 생산, 기술교육 및 시범사업 추진, 하나로마트 판촉행사 등 마케팅과 홍보를 유기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