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 부채 급증 주범은 차이나머니"

IMF·WB수장들 일제히 지목

데이비드 맬패스 신임 세계은행(WB) 총재/AFP연합뉴스데이비드 맬패스 신임 세계은행(WB) 총재/AFP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수장들이 글로벌 부채 급증의 원인으로 중국을 지목하며 일제히 ‘차이나머니’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개발도상국에 막대한 빚을 안기고 있는 중국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견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현지시간) 데이비드 맬패스 신임 WB 총재는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 및 IMF·WB 춘계회의에서 “아프리카 17개국은 이미 빚더미에 올라앉았다”며 “새 계약들이 체결되면서 그 숫자는 늘고 있으며 투명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이날 맬패스 총재의 발언은 일대일로 사업으로 개도국이 막대한 빚을 지고 있다는 경고의 메시지로 해석된다.


‘대(對)중국 강경파’인 맬패스 총재는 취임 전부터 저개발국에 많은 빚과 질 낮은 사업을 떠안긴다며 일대일로 사업을 비판해왔다. 그는 이날 대출이 경제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대출이) 투명한 방법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부채는 경제에 지장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CNBC와의 별도 인터뷰에서는 “중국이 너무 빠르게 움직여 세계의 일부는 너무 많은 빚을 떠안았다”며 직접 중국을 겨냥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미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은 올 1월 현재 미국 국채 1조1,200억달러어치를 보유하는 등 다른 나라에 수조달러 규모의 돈을 빌려주고 있다.

이날 크리스틴 라가드르 IMF 총재도 개발도상국들의 높은 부채 수준과 불투명한 부채 규모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라가르드 총재는 “대출자가 다원화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주요 회원국 등으로 구성된 국제채권국 모임인 파리클럽 비회원이 제공한 공공부채가 생기면서 향후 이뤄질 채무 구조조정은 10년 전보다 복잡해질 것”이라며 중국을 에둘러 비판했다.

그는 이어 “WB와 IMF는 투명성을 제고하고 부채의 조건과 규모·만기일 등을 알아내기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