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올해 수도권 10개시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

지하공간 통합지도의 주요 포함내역/사진제공=국토교통부지하공간 통합지도의 주요 포함내역/사진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올해까지 지하시설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경기도 고양·오산 등 수도권 10개 시에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구축한다. 또 앞으로 발사할 예정인 국토관측 위성 2기의 활용을 위해 국토위성센터도 설립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16일 발표했다. 공간정보는 공간을 구성하는 위치·경로·명칭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올해 국가공간정보 구축과 활성화와 관련 778개 사업, 3,3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7개 사업, 297억원의 예산이 늘었다.

관련기사



정부는 우선 지하공간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상·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등 지하구조물 15종의 정보를 담은 3차원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제작한다. 현재 15개 시가 완료됐고 2020년까지 85개 시의 공간정보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구축할 수도권 10개 시는 경기도 고양, 시흥, 광주, 오산, 의왕, 하남, 의정부, 파주, 구리, 군포 등이다. 또 내년 발사할 예정인 국토관측 전용위성의 활용을 위해 국토위성센터도 10월까지 건립할 예정이다. 국토위성센터는 경기도 수원시 국토지리정보원 내 3층 규모로 들어선다.

그 밖에 양성단층 주변에 위성기반 정밀 상시관측소 5개소를 추가로 설치해 지각변동 감시도 강화하고, 국가공간정보센터와 관계기관의 시스템을 연계해 정보 공유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