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업인 삶의 질 만족도 5년 전보다 상승

농진청, 지난해 농어업인 복지실태 조사결과 발표

농어업인들의 삶의 질 만족도가 5년 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24일 지난해 농어촌 2,780가구와 도시 1,149가구를 대상으로 시행한 ‘2018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농어촌 주민들이 느끼는 복지 수준 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52.2점으로 5년 전보다 7.8점 올라갔다.

경제활동(7.7점), 문화·여가(7.5점), 보건의료(3.1점), 환경·경관(2.6점)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농어촌 생활 부문별 만족도(단위 : 점)농어촌 생활 부문별 만족도(단위 : 점)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환경·경관(62.8점)과 이웃과의 관계가(60.7점)나타냈다.

도시와의 격차가 큰 부문은 ‘보건의료(13.9점차)’였으며, ‘기초생활여건(11.3점차)’, ‘교육(8.2점차)’ 순이다.

농어업인에 대한 건강·연금보험료 지원사업 등 사회안전망에 대한 만족도가 2013년에 비해 높아졌다.


질병·사고 또는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는 도시에 비해 낮은 수준이고,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은 70% 이상이 ‘준비돼 있지 않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농어촌 주민들은 질병치료 시 ‘치료비 부담(32.0%)’, ‘의료기관까지 이동이 어려움(13.4%)’을 느낀다고 했다.

의료기관까지 이동시 농어촌은 ‘개인차량(52.3%)’, 도시는 ‘도보(42.8%)’로 이동해 접근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생필품 구매와 목욕·이미용 시설 등 ‘생활서비스’와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에서 특히 도시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생활서비스 만족도는 농어촌이 46.7점(면 지역 43.0점, 70대 43.6점), 도시가 66.8점을 보였다. 또 대중교통 만족도는 농어촌이 48.6점(면 지역 46.2점, 70대 47.8점), 도시가 64.3점을 나타냈다.

농어촌 주민들은 ‘방과 후 프로그램 지원(27.1%)’과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프로그램 개발(21.7%)’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농어촌 주민들의 주된 문화·여가활동은 ‘TV시청(33.0%)’이었으나, 앞으로 희망하는 활동으로는 ‘여행(31.8%)’을 꼽았다.

김미희 농진청 농촌환경자원과장은 “농어촌 주민들의 요구가 정책에 반영되어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