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수소차 13만대 보급…경유차 26만대 대체효과 등

경기도가 오는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대를 보급할 경우 경유차 26만대를 대체하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와 함께 4만3,000여명의 일자리 창출과 1조5,000억원의 경제투자 효과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9일 국내외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로드맵을 제시하는 ‘경기도의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충전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소차 보급 목표(누적치)를 1단계 도입기(2019∼2022년)는 6,000대, 2단계 성장기(2023∼2025년)까지는 5만2,000대, 3단계 성숙기(2025∼2030년)까지는 총 13만대를 제시했다.


수소충전소는 오는 2022년까지 27곳, 2025년까지 110곳, 2030년까지 모두 150곳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예산은 매년 약 416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했다.

관련기사



도가 2019∼2030년 수소차 13만대를 보급할 경우, 3억4,000리터의 가솔린 대체효과, 35만1,000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와 더불어 미세먼지의 주범인 질소산화물도 507톤을 감축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4만3,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와 1조5,000억원의 경제투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도가 오는 2030년까지 150개소의 수소충전소를 설치·운영하는 경우 2,61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 1,560억원의 수익효과, 5,245억원의 경제적 생산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인구, 자동차등록대수, LPG·CNG충전소 자원, 도·시·군 공유 유휴부지, 전기차 추진 노하우 등 잠재여건이 가장 풍부함에도 그동안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구축에 부진을 면치 못해 왔다”며 “지원체계 강화를 통해 경기도가 2030년까지 수소차 13만대 보급과 수소충전소 150개소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수소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수소충전소 구축방안으로는 △31개 시·군별 수소충전소 설치 후보지 수요조사와 DB 구축 △수소충전소 입지제한 및 이격거리유지 규정 완화 △대도시 도심지나 교통 요충지에 홍보용 수소충전소 설치·운영을 통한 안전성 홍보 강화 △수소인프라 전담조직 및 예산확충 △수소충전소 민간 특수목적법인(SPC) ‘하이넷’의 적극적인 이용 등을 제안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