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SK에너지, 울산항만공사와 손잡고 바다 생태계 복원 나선다

백부기(왼쪽 네번째) SK에너지 CLX대외협력실장과 고상환(왼쪽) 울산항만공사 사장 등이 29일 울산항만공사에서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SK에너지백부기(왼쪽 네번째) SK에너지 CLX대외협력실장과 고상환(왼쪽) 울산항만공사 사장 등이 29일 울산항만공사에서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SK에너지



해양 플라스틱으로 고통 받는 바다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정부기관과 공기업, 대기업, 사회적기업, 국제기구가 손을 잡았다.

SK에너지는 울산항만공사(UPA), UN환경계획 한국협회, 사회적기업 우시산 등과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협약기관간 유기적인 협조체제 구축을 통해 해양 플라스틱 저감 캠페인 및 업사이클링 활동 공동 추진 등으로 해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됐다.


협약을 통해 △해양 플라스틱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업 강화 △일회용품 저감을 위한 울산항 아그위그 챌린지 공동 추진 △울산항 선박 폐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 공동 추진 △해양환경보호 공동 사업 홍보 및 국내외 사례 전파 등을 집중 추진한다.

관련기사



특히 UPA는 텀블러, 머그컵 등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는 캠페인에 울산항만공동체가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한편 울산항 입항 선박을 대상으로 폐 플라스틱 분리수거에 대한 환경정책 안내를 진행하게 된다.

SK는 ‘울산항 아그위그 챌린지’ 참여 인증사진 1장마다 베트남에 맹그로브 나무 1그루를 기부하고 사회적기업 우시산은 울산항 입항 선박에서 수거한 폐 플라스틱을 활용해 관광상품을 제작할 예정이다.

고상환 UPA 사장은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 국제기구가 연대하여 해양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시작하는 이 자리가 울산항에서 시작된 것을 매우 의미있게 생각한다”며 “플라스틱 저감을 통한 바다 살리기라는 세계적 움직임에 동참하게 돼 매우 뜻 깊고, 국내외 항만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