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지난해 제약·바이오기업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 ↓…연구개발비 총액은 늘어

2일 지난해 제약·바이오기업 185곳 실태조사 결과 발표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 16.4%로 2년새 8%포인트 줄어

우려와 달리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늘어…증가세는 둔화

금감원 "연구개발비 비용 처리 관행 뿌리 내리는 중"

금융당국의 적극적 지도에 따라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비(R&D)를 자산으로 회계처리하는 비율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를 자산으로 처리할 경우 투자가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는 일각의 우려가 제기됐지만, 연구개발비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제약·바이오 업종 상장사 185곳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 실태를 점검한 결과 자산화 비율이 전년보다 3.2% 포인트 줄어든 평균 16.4%로 조사됐다고 2일 밝혔다.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은 2014년 22.9%에서 2015년 23.8%, 2016년 24.3%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7년 19.6%로 줄었고 지난해 더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비를 비용으로 처리하게 되면, 해당 기업의 연구개발이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금감원에 따르면 연구개발비는 2016년 1조5,000억원에서 2017년 1조8,000억원, 지난해 1조9,000억원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단, 성장세는 다소 완화됐다.

관련기사



지난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연구개발비 자산화 비율이 평균치보다 높았던 상장사는 29곳으로 전년보다 18곳 줄었다. 이 비율이 0%인 상장사는 130곳에 달했고 80%를 초과한 상장사는 4곳뿐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연구개발비를 자산으로 계상한 제약·바이오 상장사는 79곳으로 전년 말보다 13곳 줄었다. 연구개발비 잔액은 1조3,205억원으로 1년 전보다 2,342억원 감소했다. 잔액이 100억원을 초과한 회사는 9곳에 그쳐 1년 전보다 12곳 줄었다. 총자산 대비 연구개발비 잔액 비중은 7.4%로 0.7%포인트 하락했다.

공시와 관련해서는 지난해 연구개발비의 자신 인식 기준을 구체적으로 공시한 회사는 64.7%로 전년보다 14.7%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제약·바이오 기업이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자산 인식 요건 적용을 예전과 달리 한층 더 신중하게 처리함에 따라서 연구개발비 회계 처리와 관련된 우려가 대체로 완화됐다”며 “일부 우려와는 달리 올바른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행 형성이 연구개발 투자의 저해를 초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