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파월 "낮은 인플레는 일시적 요인"…美 기준금리 2.25~2.50%로 동결

연준, 트럼프 금리인하 요구 거부

대선 앞둔 '정치적 판단'에 제동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되는 압박에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하는 저물가발(發) 금리 인하 시나리오에 대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낮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 요인”이라며 시중의 금리 인하론을 차단하고 나섰다.

연준은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통화정책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현행 2.25~2.50%에서 동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성명에서 “노동시장이 강세를 유지하고 있고 경제활동은 견고한 상승세를 보였다”며 “최근 몇 달 동안 일자리 증가는 평균적으로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를 밑돌고 있다는 점을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제시했다.


파월 의장은 회의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금리를 어느 방향으로든 움직여야 할 강한 근거를 보지 못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저물가를 근거로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데 대해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지속해서 낮은 수준에 머문다면 어떤 정책적 조처를 취해야겠지만 현 상황은 일시적 요인이 작용했거나 실제 물가 상승을 충분히 포착하지 못한 것일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저물가를 일시적 현상으로 진단해 내년 대선을 앞두고 금리를 낮춰서라도 경기를 끌어올리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판단에 제동을 건 것이다.

관련기사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1%포인트 같은 약간의 금리 인하와 약간의 양적완화(QE)를 한다면 우리는 로켓처럼 올라갈 잠재력이 있다”면서 구체적인 수치까지 제시하며 연준을 압박했다.

파월 의장은 핵심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가격지수가 지난해 말 2.0%를 찍은 후 올 3월 1.6%까지 낮아졌지만 경제활동의 지속적인 확대와 강한 노동시장 조건 등을 바탕으로 조만간 연준이 설정한 물가상승률 기준인 2%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일각에서는 연준의 예상과 달리 인플레이션이 낮아지는 이례적 상황이 이어질 경우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AP통신은 “경기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기 위해서도 기준금리 인하는 가능하다”면서 “이번 FOMC 성명서는 향후 기준금리 조정은 ‘인상’이 아니라 ‘인하’일 수 있다는 전망을 높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카고연방준비은행의 찰스 에번스 총재도 최근 “PCE가 몇 달씩 1.5%를 밑돌면 기준금리 인하를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