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소득수준 아닌 나의 취향"…야누스 소비가 뜬다

하이엔드 제품과 실속형 제품 소비 동시에

두 얼굴을 지닌 야누스 소비자 늘어나

명품·가전·홈퍼니싱 분야서 초고가 제품들 인기

한 켤레에 100만원이 넘는 명품 브랜드의 운동화와 300만원을 가뿐히 뛰어넘는 명품백을 사면서도 식사는 편의점 삼각김밥으로 대신하고 생필품 구매는 인터넷 최저가만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의 기호와 소비 대상에 따라 자신의 소득보다 크게 높거나 낮은 소비를 동시에 하는 모습을 보여 두 얼굴을 지닌 ‘야누스’ 소비자로도 불린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실제로 국내 명품 소비의 트렌드를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신세계백화점 명품관 매출은 지난 2016년 전년 대비 9.4%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19.9%로 급등했다. 반면 프리미엄 시장과 대척점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실속형 시장도 꾸준하게 커지는 모습도 관찰된다. 롯데마트의 전체 매출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렴한 PB상품의 매출 비중은 2013년 24%에서 지난해 27.8%까지 늘었다. 또한 가성비의 대명사 다이소를 운영하는 아성다이소의 매출은 지난해 1조9,785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20% 성장했다. 지난 2013년부터 5년간 연 평균 매출 성장률은 21.5%에 달할 정도로 가파르다.


이처럼 자기 과시 및 표현형 소비에 있어 프리미엄 제품을 찾고, 생필품 등 일상형 소비에는 가성비를 따지는 소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백화점 내 명품·가전·홈퍼니싱 분야 매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집에서 시간 보내는 ‘홈족’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초 프리미엄 가전이 하이엔드 소비와 맞물려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어서다.

관련기사



웅진코웨이 한방온혈 안마의자/사진제공=웅진코웨이웅진코웨이 한방온혈 안마의자/사진제공=웅진코웨이



이마트에 따르면 고화질에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프리미엄 TV 매출은 3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고, 비중은 50%를 넘어섰다. 대용량 건조기와 의류관리기 매출 비중도 꾸준히 증가했으며, 소형가전의 고급화 추세도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이상 고가의 청소기는 올해 들어 3월까지 매출이 55.1%가 늘었고, 고가의 공기청정기의 매출도 253%나 신장했다. 렌털이 아닌 일시불로 500만원 가까운 금액을 내야하는 프리미엄 안마의자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웅진코웨이가 지난 2월 중순 출시한 한방온혈 안마의자는 매월 준비 물량 완판을 이어가며 이 회사가 선보인 역대 프리미엄 안마의자 제품 중 최단기간 판매 매출 50억을 돌파하기도 했다.

뷰티레스트 블랙 침대/사진제공=시몬스침대뷰티레스트 블랙 침대/사진제공=시몬스침대


고급 침대 브랜드로 꼽히는 시몬스침대 역시 경제력을 갖춘 소비자들이 비싸더라도 더 크고 품질이 좋은 제품을 사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 회사는 2016년 7월 출시했던 800~2,000만원 상당의 뷰티레스트 블랙 컬렉션 제품이 판매를 개시한지 두 달만에 30억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지난해에는 연 매출이 300억원까지 뛰었다. 가구업계에서는 통상 침대가 500만원이 넘으면 고급으로 분류하는데 ‘뷰티레스트 블랙’은 이보다 더 레벨이 높은 프리미엄급 제품이다. 이 같은 현상은 현대백화점이 웨딩 멤버십인 ‘클럽 웨딩’ 회원들의 소비금액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지난 2016년 1인당 연간 지출이 800만원에 그쳤지만 지난해는 930만원으로 16.3%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는 연간 2,000만원 이상 소비고객이 전년보다 23.1% 늘었다.

유라 커피머신 z8/사진제공=유라유라 커피머신 z8/사진제공=유라


프리미엄 가정용 커피머신도 인기다. 집에서도 카페처럼 커피나 차를 즐기는 ‘홈카페’ 문화가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스위스 프리미엄 커피머신 브랜드인 유라(JURA)의 커피머신 매출도 크게 성장했다. 유라코리아에 따르면 2018년 매출이 전년 대비 246%로 대폭 상승했다. 백화점 중심의 유통채널이 홈쇼핑과 온라인 채널 등으로 확대되면서 30~40대 소비자의 진입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유럽가전들의 제품력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소형가전 제품군에서 탄탄하게 형성된 것도 유라의 가파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트렌드를 반영하듯 지난 3월 유라가 선보인 최고사양 가정용 커피머신 ‘Z8’도 목표 수량 3배 이상의 판매 대수를 달성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