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발표로 아직 교통인프라 등이 부족한 2기 신도시가 더 소외되리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2기 신도시 주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1기 신도시보다 뚜렷하게 높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받고 있다.
13일 국토연구원의 ‘지역별 생활교통비용 추정 및 격차 해소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기 신도시인 경기 남양주·화성·광주 등의 경우 월소득 대비 생활교통비 비율은 각각 10~12%에 달했다. 반면 1기 신도시인 분당, 군포, 용인 수지, 수원 권선구, 고양 일산 등의 경우 4.6~6% 수준에 그쳐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었다. 경기도 지역 560개 읍면동 소재 가구의 월평균 생활교통비용은 33만원으로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9% 수준이었다.
생활교통비는 생활 통행 중 읍면동 단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하는데 소요된 유류비·대중교통 요금·시간가치 등 직간접 비용의 총합으로 정의됐다. 지난해 수집된 이동통신사 이용자들의 이동 정보, 포털사이트의 길찾기 정보 등 빅데이터가 분석에 활용됐다.
국토연구원은 결과에 대해 “수도권 1기 신도시인 분당구·군포·안양 동안구·용인 수지구 등은 소득대비 생활교통비 비율이 낮은 반면 2기 신도시인 남양주·화성·광주 등 최근 신규택지가 개발된 도시들은 1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절대액 기준으로 봐도 수도권 동부(남양주, 광주 등)의 생활교통비는 월 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경기 가평군이나 동두천, 파주시 등이 속하는 수도권 북부(44만원)와 안성·여주·오산·화성 등이 있는 수도권 남부2(42만원)보다도 높았다. 서울 인접권의 신도시들과 비교해서는 격차가 크게 벌어졌는데 특히 서울 남부와 행정경계가 겹치는 서울인접권2구역(성남·안양·과천·하남·광명시 등 포함)의 경우 월평균 생활교통비가 23만원으로 집계돼 수도권 동부의 절반 이하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은 이런 결과를 종합해 가장 서둘러 생활교통비 저감 정책이 필요한 1순위 권역으로 광주·남양주 등 수도권 동부를 꼽았다.
한편 지난 6일 국토교통부는 고양 창릉, 부천 대장 3기 신도시를 포함한 3차 수도권 택지 공급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집값 하락 등을 우려한 2기 신도시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자 “기존 신도시에 계획된 교통대책을 신속히 추진하면서 ‘수도권 광역교통 개선방안’에 따라 계양∼강화 고속도로, 3호선 연장, 한강선 등 추가 교통대책도 지방자치단체·사업시행자 등과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