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이달부터 폭염 비상대책반 가동···취약계층 지원 확대

경로당·복지관 등에 노인 무더위쉼터 4,000여곳 운영

사회복지시설 에어컨 가동하도록 냉방비 지원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관계자가 폭염이 기승을 부린 지난해 8월 영등포구의 한 주택을 방문해 어르신들에게 선풍기를 전달하고 있다. /서울경제DB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관계자가 폭염이 기승을 부린 지난해 8월 영등포구의 한 주택을 방문해 어르신들에게 선풍기를 전달하고 있다. /서울경제DB



예년보다 무더위가 일찍 찾아온 가운데 서울시가 이달부터 4개월 간 폭염 비상대책반을 가동하고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오는 20일부터 9월30일까지 3개반 총 16명으로 구성된 ‘폭염 상황관리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이를 관리할 ‘재난안전대책본부’는 15일부터 5개월 간 가동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는 노인과 쪽방 주민, 노숙인, 최중증·독거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 대책을 강화했다. 노인 무더위쉼터는 TF 운영 기간에 경로당, 복지관, 동주민센터 등에 4,000여곳을 운영한다. 일반 쉼터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한다. 폭염특보 발령 시 휴일 구분 없이 오후 9시까지 일반 쉼터 831곳의 문을 열고 야간에는 142곳을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7시까지 운영한다. 쪽방 주민과 노숙인을 위한 무더위쉼터는 총 10곳 운영한다.


7∼8월 두 달 간 사회복지시설 입소자 1만여명에게는 1인당 1,000원의 냉방비를 시설운영비로 지원해 에어컨 가동을 돕는다. 장애인에 대한 24시간 활동 지원 인력은 100명에서 200명으로 늘리고 돌봄 공백 시간대인 야간에는 희망자를 상대로 순회 방문서비스를 제공한다.



폭우 대책과 대중교통 특별수송대책도 마련했다. 우기에 접어들기 전인 다음 달까지 침수 취약지역을 위한 빗물펌프장을 늘리고 지하주택 등 6,000여 가구에 물막이판과 수중펌프 등을 확충한다. 풍수해가 발생하면 학교 등 공공건물 1,000여 곳에 최대 64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임시주거시설을 지정하기로 했다. 도로함몰 등 파손 빈발 구간은 일제 조사해 포트홀(도로에 난 구멍) 발생에 따른 돌발 상황을 방지한다.

서정협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폭우가 내리면 지하철 배차 간격은 기존 5∼10분에서 2분50초∼7분으로 줄이고 막차 시간을 늦출 예정”이라며 “여름철 자주 발생하는 폭염과 집중호우 등 재난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