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단독]금감원 "23일 한화생명 종합검사"

7월 중순까지 30일간 진행

4년만의 부활...결과에 촉각

한화생명 본사 전경./사진제공=한화생명한화생명 본사 전경./사진제공=한화생명



금융감독원이 오는 23일부터 한화생명에 대한 현장 종합검사에 착수한다. 4년 만에 부활하는 종합검사의 첫 대상이 됐다는 점에서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한화생명에 종합검사 사전 예고를 통보했다. 한화생명 종합검사는 23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10일간 사전검사, 다음달 17일부터 7월12일까지 20일간 본 검사 등 모두 30일간 진행된다. 금감원은 30명의 인력을 투입해 지난 2015년 1월부터 현재까지 5년간의 경영업무 전반에 대해 강도높은 검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4년 만에 종합검사를 부활했기 때문에 도입 타당성을 입증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저인망식으로는 검사하지 않겠다고 하지만 자살보험금 지급 문제와 즉시연금 미지급 논란, 암보험 요양병원 보험금 지급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이 적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강도 검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구나 윤석헌 금감원장이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생보사 입장에서는 종합검사 결과에 따라 평판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감원은 이번에 종합검사 도입의 필요성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가 면밀히 진행될 것”이라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일부에서는 금감원이 1호 종합검사 대상으로 삼성생명을 찍었지만 비판 여론 때문에 한화생명이 ‘유탄’을 맞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종합검사는 2015년 보복성 검사와 먼지털이식 검사 등의 부작용으로 폐지됐다가 2018년 윤석헌 금감원장이 취임하면서 부활했다. 윤 원장은 지난달 본지 주최로 열린 ‘서경 금융전략포럼’에 참석해 종합검사와 관련, “저인망식 검사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원장은 “금융혁신 과정에서 예상하지 못한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종합검사는) 이런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서라도 존재해야 한다”며 “시작부터 100점을 받겠다고 생각하지 않고 업계와 꾸준히 소통하며 종합검사를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조만간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메리츠화재 등에 대한 현장 종합검사에도 나설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비은행권인 저축은행, 카드사에 대한 종합검사도 추진한다. /이지윤·유주희기자 lucy@sedaily.com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