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광역버스 파업시 전세버스 100∼200대 투입

시내버스 집중배차·택시부제 해제도

경기도는 도내 15개 광역버스 업체가 15일 파업에 돌입할 경우 시민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전세버스 100∼200대를 집중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와 예비차를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배차하고 택시부제도 해제할 예정이다.

15개 버스업체 노사는 이날 오후 10시 최종 조정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끝내 조정이 결렬되면 노조는 15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이번 파업 대상은 준공영제에 참여한 양주, 용인, 하남, 구리, 남양주, 포천, 가평, 파주, 광주, 의정부, 의왕, 과천, 군포, 안양 등 14개 시·군의 55개 노선 589대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15개 버스업체다.

관련기사



수원, 고양 등 대도시를 운행하는 6개 시의 광역버스 1,561대와 시내버스 등 1만여 대는 파업 대상에서 빠져 있다.

경기도는 준공영제에 참여한 15개 업체의 버스 589대가 조정 결렬로 멈춰설 것에 대비해 포천이나 양주 등 대체 교통수단이 마땅하지 않은 노선을 중심으로 전세버스 100∼200대를 집중적으로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도와 해당 시·군은 이날 오후까지 최대한 전세버스를 확보해 시민 교통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의 95%가량이 정상 운행되는 데다 전세버스를 투입하면 70% 정도는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도 관계자는 전망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