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전국 국가어항 110곳 종합개발계획 마련

해양수산부가 전국 국가어항 110곳의 혁신전략과 중장기 개발계획을 수립한다. 해수부는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국 국가어항 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고 14일 밝혔다.


국가어항은 방파제와 소형선 부두 등을 갖추고 있어 수산물과 각종 조업 도구를 어선에 옮겨 싣고 어선을 안전하게 접안시켜두는 지역 수산업 근거지다. 최근에는 낚시, 레저 보트, 어촌체험 등 다양한 해양관광을 즐기는 일반인도 즐겨 찾는 생활형 사회간접자본(SOC)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또 이용 범위가 전국적이고 기상악화 시 어선 대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리·운영은 관할 지자체에서 맡고 있다.

관련기사



용역 보고서에는 국가어항 현황, 개발잠재력, 지역개발계획, 사업타당성, 어항시설 기본계획, 어향정비계획, 레저관광계획 등이 담긴다. 이를 통해 전국 단위 종합적인 개발 계획을 세운다는게 해수부의 복안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국가어항은 그동안 개별 어항의 수요에 맞춰 계획을 세워온 탓에 전국적인 관점에서의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곤 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