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서구, 주민 불편·마을 슬럼화 주범 폐·공가 손 본다

각 동별 민관 합동으로 대대적인 환경정비 실시

부산 서구 남부민동에서 서구청과 동 주민센터 직원, 국민운동단체 회원 등이폐·공가 환경정비를 실시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 서구부산 서구 남부민동에서 서구청과 동 주민센터 직원, 국민운동단체 회원 등이폐·공가 환경정비를 실시하고 있다./사진제공=부산 서구



부산 서구가 마을을 슬럼화하는 주범인 폐·공가를 손보기로 했다.

부산 서구는 주민 생활불편을 야기하고 마을 슬럼화를 가속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 폐·공가에 대해 이달부터 민관 합동 환경정비에 들어갔다고 17일 밝혔다. 폐·공가문제는 원도심권 지자체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로 인구 고령화, 주택 노후화 등으로 인구 유출이 지속되면서 계속 늘고 있기 때문으로 서구의 경우 569개소에 달한다.


문제는 원도심 곳곳에 산재한 폐·공가들이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을 뿐 아니라 이른 바 ‘깨진 유리창 이론’과 같이 일부 몰지각한 사람들이 빈집 안쪽으로 각종 쓰레기의 내던지는 바람에 악취가 발생하고 각종 해충이 들끓어 주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점이다. 또 길고양이의 집단서식지로 전락하고 우범지대화로 인해 슬럼화를 부추기는 요인이기도 한 점이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서구는 폐·공가 중 주민들이 불편과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141개소를 우선 선정해 올 연말까지 구청과 동 주민센터, 국민운동단체, 주민 등과 함께 대대적인 환경정비를 실시할 계획이다.

우선 폐·공가 주변에 쌓여있는 각종 쓰레기를 수거하고 집 전체에 쓰레기 투척 방지망을 설치해 무단투기를 원천 차단하기로 했다. 또 대문에는 잠금장치를 설치하고 출입금지 스티커를 부착하는 등 출입을 통제하기로 했으며 소유자에게 청결유지 명령 등 행정지도도 강화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폐·공가 정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길고양이 중성화사업을 폐공가 주변에 집중적으로 실시해 개체수 확산을 막기로 했다. 서구 관계자는 “대대적인 환경정비를 통해 주민 불편을 적극 해소하고 향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폐·공가 소유자들을 대상으로 자진 철거를 유도하는 등 도시환경정비 차원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