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결혼 NO"...깊어지는 저출산의 늪

1분기 혼인 5.9만건 역대 최저

3월 출산 2.7만명 40개월째↓




올해 1·4분기 태어난 아기 수가 또다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결혼 건수도 같은 분기 기준 역대 최저로 떨어져 저출산의 늪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29일 통계청이 공개한 ‘2019년 3월 인구동향’(잠정)을 보면 올해 3월 출생아 수는 2만7,100명으로 1년 전보다 2,900명(9.7%) 줄었다. 3월 기준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81년 이후 최저치다. 1년 전과 비교한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40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1·4분기 기준으로도 출생아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8만9,900명)보다 7.6% 감소한 8만3,100명으로 사상 최저였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인 합계출산율도 올해 1·4분기 1.01명에 그쳤다. 같은 분기 기준 최저치다. 연간 출산율이 0.98명으로 추락한 지난해 1·4분기(1.08명)보다도 0.07명 더 줄었다. 출생아 수는 통상 연초에 가장 많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올해 합계출산율은 지난해보다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3월 결혼 건수는 1만9,600건으로 전년보다 3,200건(14%) 줄었다. 역시 3월 기준으로 1981년 이래 가장 적은 수치다. 1·4분기 기준(5만9,100건)으로 역대 최저였다.

우리나라 출산의 대부분이 기혼 가정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저출산 추세가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생에 선행하는 혼인이 몇 년째 계속 줄면서 출생아가 감소하고 있다”며 “출산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대인 30~34세 여성 인구 자체도 계속 줄고 있다”고 말했다.

사망자 수는 1·4분기 기준 7만5,100명으로 1년 전보다 6,700명(8.2%) 줄었다. 하지만 사망자 수 감소에도 출생아가 더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분은 올해 1·4분기 8,100명에 그쳤다. 역시 분기 기준 사상 최저치다. 통계청은 지금과 같은 추세가 유지될 경우 당장 내년부터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아지는 인구 ‘자연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