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편백 못지 않은 팔방미인 ‘화백’

천연 항균 물질 피톤치드 발생…피로회복 효과 편백 못지 않아

경남 진주시 월아산 산림과학연구시험림에 식재된 화백.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경남 진주시 월아산 산림과학연구시험림에 식재된 화백. 사진제공=국립산림과학원



피톤치드의 대표적 성분인 알파피넨(α-Pinene)이 많다고 알려진 ‘화백’은 유사수종인 ‘편백’보다 생장력이 우수하고 이산화탄소 저감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경남 진주시 월아산 산림과학연구시험림 5ha에 식재된 약 25년생 화백의 부피 생장을 측정한 결과, ha당 7.3㎥씩 자라고 있어 편백 6.4㎥보다 오히려 생장량이 뛰어났다고 4일 밝혔다.

화백의 ha당 연간생장량을 이산화탄소 흡수량으로 환산해 보면 9.3 CO2톤으로 계산되는데, 이는 승용차의 이산화탄소 연간배출량을 2.4톤으로 가정했을 때 약 4대분의 흡수량이다. 또한 요즘의 골칫거리인 공기 중 미세먼지 저감에도 우수한 수종으로 보고되고 있다.


화백은 측백나무과 편백속으로 난온대성 수종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식재 가능하며 침엽수 중에서는 아황산가스나 일산화탄소에 가장 저항성이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편백의 생육지는 주로 건조한 곳이며 화백은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 두 수종을 동일 지역이라 하더라도 해발에 따라 또는 경사면 방향에 따라 상호 보완적으로 식재할 수도 있을 전망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현재 월아시험림에 조성된 화백 숲은 약 25년생으로 보통 나무의 생장 절정기가 약 30년임을 감안한다면 앞으로도 충분히 더 많은 생장을 할 것”이라며 “시험림내 화백의 생장량을 더 높여 더 많은 공익적 가치를 가져올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