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세계은행, 올해 글로벌 성장률 전망 2.9→2.6% 하향

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블룸버그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블룸버그



세계은행이 “상당한 위험요인이 보인다”며 올해 성장률 전망을 낮췄다.


4일(현지시간) 세계은행이 발표한 ‘고조된 긴장, 가라앉은 투자’(Heightened tensions, Subdued investment)라는 부제목을 단 ‘세계 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1월 보고서에서 전망한 2.9%에서 0.3%포인트 하향 조정한 수치다.

세계은행은 연초의 예상보다 약화한 국제 무역과 투자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 경제는 2020년엔 2.7%, 2021년엔 2.9%의 성장률을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세계은행은 “올해 글로벌 성장은 계속 약화했다. 모멘텀은 여전히 약하고 정책 공간은 제한적이다”라며 “상당한 위험요인들이 보인다”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이 꼽은 글로벌 경제 위험요인으로는 무역 긴장 고조와 예상보다 빠른 주요 국가들의 경제 둔화, 여기에 개발도상국의 재정적 압박이 재현될 가능성 등을 꼽았다.


세계은행은 또 개발도상국과 신흥국들의 정부 부채가 증가하는 반면 이들 국가의 투자는 감소해 향후 경제 성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했다.

관련기사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보고서에서 “빈곤 감소와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해선 더 강한 경제 성장이 필수적”이라며 “현재 경제적 모멘텀은 여전히 취약하고 개발도상국의 부채 수준 상승과 투자 감소는 이들 국가의 잠재력 달성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각국이 기업 환경을 개선하고 투자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중요한 구조 개혁을 하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부채 관리와 투명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올해 2.5% 성장률을 보인 뒤 2020년 1.7%로 둔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 및 중앙아시아는 터키를 제외하면 올해 2.4%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성장률은 지난해 6.6%에서 올해 6.2%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은 올해 0.8%로 예상됐다.

동아시아·태평양 지역은 5.9%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작년 6.3%보다 낮은 것으로, 이 지역 성장률이 6% 아래로 떨어지는 것은 1997∼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라고 세계은행은 말했다.

세계은행은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별도로 공개하지 않았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