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리스 美대사 "5G 보안, 동맹국 안보 핵심"

"신뢰할 시스템 선택해야"

韓에 反화웨이 동참 요구 분석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5일 서울 강남구 페이스북코리아에서 열린 ‘클라우드의 미래’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5일 서울 강남구 페이스북코리아에서 열린 ‘클라우드의 미래’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미중 패권경쟁이 경제에서 안보 영역으로 확전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5일 반 화웨이 전선에 동참할 것을 한국에 촉구했다.


해리스 대사는 이날 서울 강남구 역삼동 페이스북코리아에서 주한미국대사관과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주최로 열린 ‘클라우드의 미래’ 콘퍼런스에 참석해 “5G 네트워크상 사이버 보안은 동맹국 통신을 보호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고 밝혔다.



해리스 대사가 기업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 때리기에 나선 만큼 5G 이동통신망 구축에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국내업체를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해리스 대사는 “지금 내리는 (5G 보안과 관련한) 결정이 앞으로 수십년간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친다”며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말했듯 세계는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3일 헤이그에서 스테프 블로크 네덜란드 외무장관과 회담한 뒤 “미국의 요구는 명확하다. 우리 동맹국과 파트너, 친구가 공유하는 안보이익을 위태롭게 하거나 민감한 정보공유 능력을 제한하는 일을 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반 화웨이 캠페인의 취지를 설명했다.

미중 패권경쟁이 격화하면서 선택의 압박이 커진 한국 정부의 고민도 깊어질 듯하다. 미국의 반 화웨이 캠페인에 동참할 경우 중국의 경제 보복에 시달릴 위험성이 큰 탓이다. 실제로 주한 중국대사관이 한국인의 상용(비즈니스용) 비자 발급 기준을 높이는 등 우리 정부에 대한 간접 압박을 시작했다는 분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박우인·권경원기자 wipark@sedaily.com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