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신차 구매 제한 완화 나선 中...무역전쟁 직격탄 맞은 자동차 시장 살리기

지방정부에 신에너지차 구매제한 모두 폐지 지시

화석연료 차량 구매제한 정책도 완화 방침 시사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로이터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차량 구매제한 정책 완화를 추진하며 무역전쟁 여파로 위기에 빠진 자동차 시장 살리기에 나섰다.

7일 중국 차이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전날 소비 촉진 대책을 발표하면서 각 지방정부에 신에너지 차량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구매제한 정책을 모두 폐지하라고 지시했다.


베이징의 경우 추첨제로 번호판을 배정하고 경제 중심 도시인 상하이에서는 경매 방식으로 번호판을 발급하고 있다. 그동안 자동차 구매를 통제했던 중국 정부는 최근 미중 무역전쟁으로 침체 위기를 맞은 자동차 시장을 구하기 위해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아울러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차량이 아닌 일반 자동차에 대한 구매제한 완화 방침도 시사했다. 발개위는 각 지방정부가 새로운 차량 구매제한 정책을 내놓지 말 것을 요구했다. 또 각 도시의 대기환경 개선, 도심 교통난 개선 등 상황에 따라 차량 구입 정책을 더욱 탄력적으로 운영하라고 지시했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신에너지 차를 중심으로 소비를 진작시켜 침체기에 빠진 자국 자동차 시장을 살리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로 중국인들의 소비 심리가 급랭하면서 작년 중국의 승용차 판매량은 2,272만대로 전년보다 6.0% 감소했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한 것은 1990년대 이후 20여년 만에 처음이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