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민 77% "통일보다 경제살리기 먼저"

보건사회연구원 인식 조사

국민 10명 중 8명은 통일보다는 경제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내외 경제 환경 악화로 인해 경제 회생에 더 방점을 두는 여론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Ⅴ)’ 보고서에 따르면 ‘통일문제와 경제문제 중 하나를 골라서 해결해야 한다면 경제문제를 선택하겠다’는 진술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77.1%가 ‘동의’(‘매우 동의’ 31.84%, ‘동의하는 편’ 45.26%)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는 6.96%(‘반대하는 편’ 5.96%, ‘매우 반대’ 1.0%)에 그쳤다. ‘보통이다’는 15.95%였다.


보사연은 지난해 6∼9월 전국 만19세 이상~75세 이하 성인남녀 3,873명(남성 1,967명, 여성 1,906명)을 상대로 대면 면접을 통해 남북한 통일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관련기사



또 ‘남북한이 한민족이라고 해서 반드시 하나의 국가를 이룰 필요는 없다’는 항목에 대해서도 절반이 넘는 55.9%(‘매우 동의’ 15.62%, ‘동의하는 편’ 40.28%)가 동의했다. ‘반대한다’는 16.37%(‘반대하는 편’ 12.85%, ‘매우 반대’ 3.52%)였고 ‘보통이다’는 27.72%였다.

통일에 따른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통일을 위해서라면 조금 못살아도 된다’는 데 ‘동의’하는 의견은 17.12%(‘매우 동의’ 1.98%, ‘동의하는 편’ 15.14%)에 그쳤고 ‘반대’ 의견은 53.24%(‘반대하는 편’ 34.88%, ‘매우 반대’ 18.36%)나 됐다. ‘보통이다’는 29.65%였다. ‘남북한이 통일되는 방향으로 우리 사회가 변화하는 데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33.21%가 ‘긍정적’이라고 답변한 반면, 54.08%는 ‘보통’, 12.71%는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개선되는 방향의 사회변화’에도 42.37%는 ‘긍정적’이라고 했지만, 49.96%는 ‘보통’, 7.67%는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