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로봇이 간다]"실적 못쌓으면 10년 공들인 기술 묻혀...정책 지원 절실"

장인성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

부처 연구과제 협업 우선 사용 등

사업화 벽 넘을수 있게 도와줘야

장인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이 지난 13일 경북 포항시 수중건설로봇센터에서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포항=오승현기장인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이 지난 13일 경북 포항시 수중건설로봇센터에서 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포항=오승현기



“트랙레코드(실적)를 쌓지 못한다면 10년간 공들여 만든 장비와 기술이 사장(死藏)될 수 있습니다”

지난 13일 경북 포항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수중로봇복합실증센터에서 만난 장인성(사진) 수중건설로봇사업단장은 이같이 걱정부터 쏟아냈다. 깊은 바닷속에서 암반 파쇄와 케이블 매설, 각종 구조물작업을 척척 해내는 수중로봇 3형제인 ‘URI-L’, ‘URI-T’, ‘URI-R’의 개발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제 막 2단계 사업화를 시작한 만큼 기대가 앞설 것이라는 기대와 정반대였다.


그는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09년 수중건설로봇의 꿈을 키웠다. 당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연구기획 사업으로 시작해 2010년 보고서를 만들었지만, 그 해 하반기 예비타당성 조사의 관문을 넘지 못했다. 이듬해인 2011년 다시 기획에 나섰고 2013~2019년 1단계로 로봇들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만드는 1단계 연구를 따내 지금까지 달려왔다. 물론 앞으로 4년간의 사업화 연구를 다시 진행하는 만큼 상황은 희망적이지만 현실의 벽은 이보다 높다는 게 장 단장의 말이다. 그는 “아무리 좋은 장비라고 해도 확실한 실적이 없는 장비를 해양 개발업체에서 쓰려고 하지 않는다”며 “국내나 국외, 정부나 민간 모두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실제 사업의 경우 공사기간이 곧 돈이고 품질이 생명이다. 이미 검증된 외산장비가 있는 상황에서 20~30% 저렴한 국산 신장비를 쓰는 데 위험부담이 적지 않다 보니 선뜻 가격만 보고 선택할 수 없다는 얘기다. 장 단장은 “실제 많은 연구개발(R&D) 과제들이 사업화의 벽을 넘지 못하고 연구단계에서 멈춘다”며 “우리도 많은 트랙레코드를 쌓아야 자신감이 더해지는 만큼 최대한 기회를 찾고 싶지만, 극단적으로 공짜로 공사를 대신해준대도 선뜻 현장을 내주는 경우가 없다”고 토로했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어디서부터 첫 단추를 꿰어야 할까. 장 단장은 “각 부처 연구과제에서 협업할 기회를 찾는 게 먼저”라고 강조했다. 해상 풍력이나 해양플랜트, 해저 터널 같은 바다와 관련된 연관 R&D 과제들을 수행할 때 해저 로봇이 필요하면 수중건설로봇사업단의 ‘URI’ 시리즈를 우선 채용하는 식이다. 그는 “바다 관련 과제들이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퍼져있어 긴밀한 협력이 잘 안 되는 경우도 많다”며 “건설로봇은 트랙레코드를 쌓고 연구주체는 적은 비용으로 로봇을 빌리는 ‘윈-윈’ 모델이 작동하게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는 등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수중건설로봇이 실제로 활용될 시장도 더 열려야 한다는 게 장 단장의 판단이다. 항만과 방파제 같은 수중구조물 점검과 유지관리를 지금은 잠수사들이 맡고 있지만, 업무 일부를 로봇이 대체한다면 검사의 객관성을 높이고 운용 효율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관련 인력 양성도 숙제다. 장 단장은 “우리나라에는 이렇다 할 수중로봇 관련 커리큘럼과 경진대회도 없다”며 “앞으로 해양산업은 점점 커지는 만큼 중고생들부터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뛰어들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