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상암문화 광장 일대는 자동차기술의 혁명을 체험하러 온 인파로 북적였다. 정부와 서울시가 연 ‘상암 자율주행 페스티벌’행사를 보러온 시민들이었다. 이날 행사에선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 기반의 자율주행차 및 관련 기술들이 소개됐다. 성큼 현실 앞에 다가온 근미래의 교통환경을 실감할 수 있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척박한 자율차 생태계의 현실이 드러났다.
◇실제 타보니=이번 행사를 통해 한국에서도 인공지능(AI)이 도심에서의 차량 주행을 위해 상용화될 날이 멀지 않았음이 실증됐다. 본지 기자가 이날 페스티벌 행사장 앞의 월드컵북로 도로에서 SK텔레콤이 제공한 11인승 자율주행버스에 시승해 보니 왕복 약 1km 구간을 서행하는 동안 버스를 운행하는 AI가 도로와 주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판단하고 있었다. 해당 버스에는 레이저를 쏘아 주변의 차량 등과의 위치를 감지하는 라이다(Lidar)가 장착돼 100~150m전방을 지속적으로 살폈다. 또한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차량 주변을 촬영하면 사물의 패턴을 학습한 AI가 사람인지, 장애물인지, 차량인지, 표지판인지 등을 식별해 냈다. 실제로 주행 중 사람 형상의 모형이 돌발적으로 나타나자 AI가 즉시 인지해 버스를 세웠고, 교통신호를 준수하며 주행과 유턴을 척척 해냈다. 앞차가 감지한 교통정보도 통신으로 받아 AI가 종합적으로 교통상황을 판단했다.
◇주행 안전은=시승 버스는 시속 10㎞대의 속도로 서행했다. 동승한 SK텔레콤 관계자는 “현재 관련 법 규정상 도심에서 최대 시속 30㎞까지 달릴 수 있는데 현재 해당 수준의 기술은 확보했고, 연내에 해당 속도로 실증을 마치려고 한다”고 전했다.
해당 버스는 사전에 정해진 구역과 노선에서 스스로 달릴 수 있는 ‘레벨3’의 자율주행성능을 갖췄다. 운전자가 필요 없지만 운전석은 있다. 만약의 돌발 사태에 대비해 반드시 1명의 보조운전자가 탑승하도록 의무화돼 있기 때문이다. 해당 운전자는 자율차가 미처 대응 못할 상황에서 긴급히 개입해 안전사고를 막는다. 이날 시승식에서도 보조운전자가 동승했지만 주행에 직접 개입할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산업 생태계는=시승 버스는 국산이 아니었다. 한 당국자는 “국내에선 아직 자율주행버스를 제작하는 회사가 없어 이번 행사에는 중국산 버스가 수입돼 도입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현대·기아차가 버스 등 상용차를 제작하지만 아직 자율주행버스의 수요가 적어 상용제품을 내놓지 않았다. 최소 연간 수 만대의 판매 가능성이 있어야 국내 대기업이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버스 플랫폼을 외국기업들이 선점하게 되면 국내 부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기업들도 이들 해외 기업들에 종속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율차 관련 부품 중 특히 센서류는 거의 전량 수입해서 국내 업체가 조립만 하는 수준”이라며 “자율차 AI구동을 위한 반도체 등도 아직 미국에 한참 뒤쳐진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자율버스 운행 스케쥴은 토종 산업생태계의 육성 계획과 보조를 맞춰야 교통산업 주권을 지킬 것으로 보인다. /민병권 newsroom@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