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당뇨병, 혈관성 치매와 연관성 커

스웨덴 툰드대 엥글룬드 교수팀, 당뇨병과 치매 관계 분석

당뇨병 환자가 혈당을 재는 모습. /사진제공=게티이미지당뇨병 환자가 혈당을 재는 모습. /사진제공=게티이미지



2형(성인) 당뇨병과 고혈압이 알츠하이머(노인성) 치매와는 연관성이 낮고 혈관성 치매와 연관이 크다고 스웨덴 룬드(Lund)대학 의대 엘리사베트 엥글룬드 임상신경병리학 교수 연구팀이 분석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5일 보도했다.


혈관성 치매는 알츠하이머 치매 다음으로 흔한데 뇌졸중이나 기타 뇌혈관 손상에 의해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뇌에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발생한다. 65세 이상 사망 환자 268명의 뇌 조직 샘플을 분석해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를 구분하고 이들의 사망 전 의료기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관련기사



치매를 100% 확진할 수 있는 방법은 사망 후 뇌 조직 샘플을 채취해 현미경 분석으로 뇌 신경세포의 두 가지 비정상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를 확인하는 것이다. 알츠하이머 치매 그룹에서는 12%, 혈관성 치매 그룹에서는 31%가 사망 전 당뇨병을 앓았다. 알츠하이머 치매 그룹에서는 37%, 혈관성 치매 그룹에서는 74%가 사망 전 고혈압 환자였다.

연구팀은 “치매의 종류와 위험요인의 연관성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이 잘못된 진단과 치료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과학뉴스 사이트 ‘컨버세이션’에 실렸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