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김명환 위원장의 석방과는 상관없이 ‘7월 총파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올해 초에는 계획하지 않았던 ‘8월 총파업’까지 언급해 강경 기조를 이어갈 계획이어서 노정 관계가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노총은 28일 서울 강서구 KBS아레나에서 전국단위사업장 비상대표자회의를 열고 투쟁계획안을 의결했다. 다음달 4~5일 비정규직 파업과 18일 총파업 대회 일정은 수정되지 않아 ‘7월 총파업’ 기조가 그대로 이어졌다.
민주노총은 7월 총파업을 끝내면 다시 8월 하순부터 ‘노동기본권 쟁취 총파업’을 진행한다. 지난 1월 민주노총의 연간 투쟁계획에는 ‘8월 파업’ 일정이 없었다. 구체적 파업 날짜는 7월 정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의결하기로 했지만 민주노총은 8월 초중순까지 여름휴가 기간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 8월 말로 계획하고 있다. 7·8월 파업을 지렛대 삼아 고(故) 전태일 열사 추모 기간인 11월 다시 총파업에 나설 계획이다.
민주노총의 요구사항은 전방위적이다. △최저임금 1만원 쟁취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반대 등이다. 특히 탄력근로제 등 노동법 개정이 추진될 경우 언제든 국회를 상대로 투쟁하기로 했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날 선 비판도 변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극우집단의 선동과 편견, 루머와 억지를 증거로 삼아 민주노총 위원장과 중앙간부를 구속했다”며 “저들이 우리를 감옥에 가두어 넣는 것 이상 할 수 있는 것은 더 이상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촛불 정부라고 자임만 할 뿐 촛불 정신을 실현할 능력도, 책임감도 없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5월과 올해 3∼4월 국회 앞 집회에서 발생한 불법행위를 주도한 혐의로 이달 21일 구속됐지만 엿새 만인 27일 구속적부심을 거쳐 조건부로 석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