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무역협상 재개 앞둔 중국...블랙리스트 카드 꺼내나

화웨이 제재 완화 요구하며

'신뢰못할 美 기업' 압박할듯

美는 中 드론 금지 법제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9일 오사카에서 만나 무역담판을 갖기 전에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9일 오사카에서 만나 무역담판을 갖기 전에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이번주 베이징에서 고위급 무역협상을 재개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이 외국 기업 블랙리스트인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으로 미국을 압박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은 국방수권법(NDAA)을 개정해 미군이 중국산 드론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이 준비하는 ‘블랙리스트’가 미국과의 고위급 대화에서 핵심 협상카드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SCMP는 이번 협상에서 “중국 정부가 화웨이 제재 완화를 강력히 요구할 것”이라며 “요구가 수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블랙리스트를 공개해 미국에 불만을 표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 정부가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를 ‘거래제한 명단’에 올렸던 지난 5월 블랙리스트 작성에 돌입했다. 당시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 공급망이 마비될 위기에 처하자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에 대한 봉쇄 및 공급중단 조치를 내리거나 중국 기업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외국 기업·조직·개인을 ‘신뢰할 수 없는 실체 명단’에 올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사회과학원의 뤼샹 선임연구원은 SCMP에 “만약 미국 기업들의 중국 내 운영이 여의치 않다면 그 손실을 메우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한편 미국은 국가안보 우려를 이유로 군에서 중국산 드론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국방수권법(NDAA)’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국방수권법은 지난달 27일 미 상원을 통과했고 하원은 이달 말 표결 예정이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에는 중국산 드론이 수집한 정보가 중국 정부나 해커들의 손에 들어가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미국 드론 제조업체를 보호하려는 의도가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산 드론 사용이 미군에서 금지되면 곧바로 민간업계에도 영향을 미쳐 사실상 미국에서 중국산을 퇴출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