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스타트업파크 유치지역 내일 발표

개방형 혁신창업 생태계의 메카가 될 스타트업 파크의 최종 유치지역이 11일 판가름난다. 총 120억원이 투입되는 국책 사업인 만큼 지방자치단체간 불꽃 튀는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9일 중소벤처기업부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10일 경기도 판교 모처에서 창업지원 전문가, 건축 및 공간조성 전문가 등 13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의 주도로 3차 발표 평가를 진행한다. 중기부는 평가위원회의 검토와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후보지를 선정한 후 11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지역적 특성을 비롯해 대상 지역의 창업·혁신 역량, 계획의 실현 가능성 및 성공 가능성,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 여부, 지역의 추진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점수가 매겨진다.

관련기사



이번 평가에는 2차 평가를 통과한 서울(관악구)과 인천시, 부산시, 대구시, 대전시, 충남, 경남, 경북 등 8개 지자체가 참가했다. 앞서 1차 평가에는 경기(안양시), 전북, 제주 등 3곳이 통과했지만 2차 평가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스타트업 파크로 낙점되면 국비 120억7,700만원이 지원되며, 대학·연구기관 등이 기술·장비·시설 인프라 및 인력을 공유하는 플랫폼 구축을 통해 스타트업에서 스케일업(Scale-up)을 거쳐 유니콘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이번 3차 평가에서 탈락한 나머지 7개 후보지에 대해서는 타당성 재조사를 거쳐 사업비가 지원된다. 타당성 재조사는 전문연구기관에 위탁해 연내 일괄 진행된다.

스타트업 파크는 혁신창업과 기업성장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산학연 혁신 주체들이 혁신 인프라와 혁신 자원 등을 통해 소통과 협력하는 공간이다. 대학, 창조경제혁신센터, 액셀러레이터 등 민간 창업전문기관이 스타트업 파크 운영기관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