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 지하철 파업 "출퇴근 시간은 100% 정상운행" 장기화 우려도

부산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연합뉴스부산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연합뉴스



부산지하철 노조의 파업으로 전동차 운행률이 떨어지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교통공사는 가용인력을 총동원해 출퇴근 시간에는 전동차를 100% 정상 운행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지하철 노조는 임금·단체 교섭 결렬을 이유로 10일 새벽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새벽 5시 첫 전동차부터 파업을 시작해 기관사부터 오전 9시 기술과 역무, 차량 정비 등 전 분야로 파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노조는 전체 조합원 3천402명 중 필수유지 업무자를 뺀 2천4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도시철도는 필수 공익사업장이어서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필수유지 업무자(1천10여명)는 일해야 한다. 파업 여파로 전동차 운행률은 평소 대비 61.7%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교통공사는 가용 인력을 총동원해 열차 운행 차질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비상운전 요원 59명을 투입해 출퇴근 시간에는 전동차를 100% 정상 운행할 방침이다. 다른 시간대에도 열차 운행률을 70∼75% 수준으로 유지해 전체 전동차 운행률을 73.6%로 유지할 계획이다.



부산 지하철 노조가 9일 오후 부산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에서 조합원 비상총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부산 지하철 노조가 9일 오후 부산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에서 조합원 비상총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파업이 본격화되면서 전동차 운행률이 떨어지면 배차 간격이 길어지는 만큼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 또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필수유지 업무자와 대체 투입된 인력의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안전사고가 가능성도 높아진다.

부산시는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택시부제 해제, 시내버스 배차 확대, 전세버스 운행 등 대체 교통수단을 확보해 시민 불편을 줄일 계획이다.

노사는 9일 오후 늦게까지 핵심 쟁점인 임금인상률과 통상임금 증가분을 활용한 신규 인력 채용 규모를 두고 장시간 협상했지만, 끝내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4.3%였던 임금인상률을 1.8%로 낮추는 내용의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사용자 측은 임금 동결 방침을 굽히지 않았다.

노사는 마지막 협상을 시작한 지 5시간 30분 만인 9일 오후 8시 30분경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