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하철노조 무기한 파업 돌입…2년10개월만에 운행 차질

부산지하철노조가 10일 오전 9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승무지부는 이날 오전 5시에 운행하는 첫 전동차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기술과 역무, 차량 정비 등 모든 분야로 파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전동차 운행률은 평상시의 61.7%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노조는 봤다.

공사는 필수유지업무자와 비조합원, 외부인력 등을 투입해 출퇴근시간대의 경우 100% 정상운행하고 기타 시간대에는 70~75% 수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파업으로 배차 간격이 길어지면서 시민 불편은 피할 수 없게 됐다. 또 파업이 장기화하면 필수유지 업무자(1,010명)와 대체 투입된 인력의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부산시는 파업에 대비해 택시부제 해제, 시내버스 배차 확대, 전세버스 운행 등 대체 교통수단으로 시민 불편을 줄이기로 했다.


사용자 측인 부산교통공사와 노조는 지난 9일 마지막 임금·단체 교섭에서 핵심 쟁점에 대한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 핵심 쟁점인 임금인상률과 통상임금 증가분을 활용한 신규 인력 채용 규모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이다.

관련기사



교섭에서 노조는 기존에 고수해 왔던 임금인상률 4.3%를 1.8%로 낮추고 742명 증원 규모도 550명으로 줄인 수정안을 제시했다. 반면 공사는 4조2교대 근무형태 개편에 따른 인력 증원분을 포함해 총 497명 채용과 임금 동결이란 기존 안을 고수하면서 타결에 실패했다. 공사는 매년 2,000억원대 운영적자에다가 다른 지방공기업 임금보다 공사 직원 임금이 평균 10% 정도 높다는 이유로 임금 동결을 고수했다.

이번 파업으로 부산지하철은 2년 10개월 만에 운행에 차질을 빚게 됐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