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亞 해외 사업장 인권유린 없다"

"최저임금 미지급 등 사실무근"

일부 언론 보도에 정면반박

베트남 박닌성 삼성전자 휴대전화 공장 전경. /서울경제DB베트남 박닌성 삼성전자 휴대전화 공장 전경. /서울경제DB



삼성전자가 최근 모 언론에서 제기한 아시아 해외 사업장과 관련한 부정적인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정면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10일 뉴스룸을 통해 “삼성전자가 최저임금도 지급하지 않는다든가, 저임금으로 기본 생활조차 되지 않는다든가 하는 주장은 모두 사실과 다르다”며 “삼성전자는 어떤 고용형태의 근로자에 대해서도 법정한도를 상회하는 적정 임금을 지급하고 적법하고 적정한 대우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기사가 삼성전자 아시아 사업장에서 심각한 인권 유린이 벌어지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식에서 벗어난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근로자들의 복리후생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 운영 중인 통근버스와 기숙사 제도를 어떻게 근로자의 통제를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다만 “기사에서 지적한 초과근로 문제라든가 협력사 환경안전 점검 등은 지속적으로 개선 노력을 기울였으나 아직 100% 완벽하게 해결하지 못했다”면서 “현지 문화나 과거의 잘못된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해 글로벌 스탠더드에 미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앞서 모 언론은 삼성전자가 사업장 인근 박닌 주민을 채용하지 않아 주거를 회사에 의존하게 했다고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박닌 사업장 근로자 중 박닌과 인근 출신은 50%가 넘고 통근버스가 아니라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으로 출근하는 비율 역시 50%가 넘는다”고 반박했다.

또 ‘택트 타임’을 삼성전자가 근로자를 쥐어짜는 소위 ‘노동의 삼성화’ 수단처럼 묘사한 것도 과도하다고 주장했다. 회사 측은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뜻하는 ‘택트 타임’은 전 세계 제조업의 기본”이라며 “글로벌 제조업 공장 중에 ‘택트 타임’을 관리하지 않는 업체는 찾아보기 힘들다”고 반박했다.

지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아시아사업장의 노조 문제에 대해 삼성전자는 사과를 하며 노조의 권리를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삼성전자의 과거 일부 해외 법인에서 임직원의 노조 활동을 존중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있었던 점은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삼성전자는 각국의 법률에 따라 임직원이 선택한 노조에 가입할 권리, 단체 교섭 및 평화적 집회에 참여할 권리를 존중한다”고 덧붙였다. /박효정기자 jpark@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