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미동맹은 굳건” 평택 험프리스기지에 대형 조형물

6·25전쟁·연합사 창설 등 동맹 발전과정 기록

인천상륙작전 상징 주탑 등 4개 부분 구성

정경두 “위대한 동맹의 정신”

에이브럼스 “밝은 미래 향한 등대”

주한미군 평택 기지(캠프 험프리스)에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높이 5m의 조형물이 들어섰다.

국방부와 주한미군사령부·주한미국상공회의소는 10일 오전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서 ‘함께하는 내일, 아름다운 동행’을 주제로 한미 양국 장병이 협력해 역경을 극복해온 모습을 형상화한 가로·세로 각각 15m, 높이 5m의 ‘한미동맹 상징조형물 제막식’을 개최했다.

‘함께하는 내일,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주제로 한미 양국 장병이 협력하여 역경을 극복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주탑을 비롯해 4개 부분으로 구성된 한미동맹 상징 조형물.‘함께하는 내일, 아름다운 동행’이라는 주제로 한미 양국 장병이 협력하여 역경을 극복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주탑을 비롯해 4개 부분으로 구성된 한미동맹 상징 조형물.



인천상륙작전을 상징하는 주탑은 한미 양국 군인들이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며 험난한 역경을 이겨내는 모습을, 원형으로 설치된 ‘역사의 벽’은 6·25전쟁 이후 한미동맹의 발전 과정을 각각 담았다.

바닥에는 북한의 남침과 정전협정 조인, 한미연합사령부 창설과 주한미군사령부 평택 이전 등 한미동맹의 주요 역사를 시간순으로 보여주는 ‘역사의 시계’와 6·25전쟁의 주요 전투 등을 표시한 ‘한반도 조형’이 설치됐다. 한미 양국 장병이 힘을 합쳐 이 땅을 지켜냈다는 의미들이 담겨있다.


원 바깥쪽에는 육·해·공군 및 해병대 상징물 아래 각 군의 특징과 한미 양국 군의 창설이 기록돼 있다.

관련기사



이날 개막식에는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제임스 김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등이 참석했다. 정 장관은 축사에서 “이 조형물은 한미동맹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영광스러운 기록임과 동시에, 새로운 미래를 향한 디딤돌이 될 것”이라며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열어가는 지금, 한미동맹은 강력한 힘으로 변화를 뒷받침하면서 위대한 동맹의 역사와 정신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에이브럼스 사령관도 “우리의 동맹은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의 토대로 작용하고 있으며, 절대 변치 않을 것”이라며 “이 조형물은 우리의 공동의 과거의 기록이자, 우리의 헌신에 대한 표현이며, 밝은 미래를 향한 등대”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미동맹 상징조형물은 한미 기업 간 협력을 지원하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에서 미국 육군성에 기부한 것이다.

국방부는 “이 조형물이 주한미군 중심부인 캠프 험프리스 기지 내에 설치됨으로써 1953년부터 굳건히 이어져 온 한미동맹을 상징하게 됐다”며 주한미군의 평택시대 개막 1주년을 기념하는 뜻도 담겨있다고 설명했다.

주한미군사령부가 서울 용산을 떠나 새로 둥지를 튼 캠프 험프리스는 여의도 면적의 5배인 1천467만7천㎡(444만평)에 달해 외국에 있는 미군기지 중 단일기지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